본문 바로가기
2009.02.14 03:22

넘이·넘우

조회 수 626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넘이·넘우

고장말

‘-우’는 표준어 ‘-의’에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의’는 곳에 따라 ‘-어·-으·-우·-이’로도 쓰인다. ‘-으’가 가장 널리 쓰이는데, ‘-의’의 ‘ㅣ’가 탈락한 것이다. ‘-으’는 경기·충청·함경(육진 쪽 제외)을 뺀 지역에서 쓰이는데, 경기·충청에서도 ‘놈’ 다음에는 ‘-으’가 쓰이기도 한다. “생전 못 듣던 놈으 소린디 이게 워트게 되능 긴지를 모루겄어.”(<한국구비문학대계> 보령군편) “남으 자식으 나뿌달기 있는가.”(<새벽> 안수길) “늬 비록 껍떼기는 사람으 새끼 비슷허다 하나 애초 즘생 밑이서 읃어먹고 자랐기로 그 투세가 갈 디 읍시 즘생으 새끼라 …….”(<오자룡> 이문구)

‘-으’는 ‘ㅁ’ 다음에 ‘-우’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예쁘다’를 ‘예뿌다’, ‘아프다’를 ‘아푸다’라 하는 것과 같다. “워짜겄어, 워짜겄냐고, 넘우 각씨 시집질을 가매꾼이 중도에서 늦추먼 워짜겄냐고?”(<남도> 박상륭) “장에 갔다가 머를 잊어부리고 온 것맨치로 사람우 맴이란 그런 거니께.”(<토지> 박경리)

‘-어’는 강원 영동 쪽에서, ‘-이’는 주로 제주와 함북 지역에서 쓰인다. “남어 땅으 사가주구 팔어 먹읏드래여.” “꿩어 고기거 맛이 우떻나?” ‘-이’는 우리나라 모든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의)가 ‘-이’로 변한 것이다. ‘세상’을 ‘시상’, ‘게’를 ‘기’로 발음하는 것과 같다. “집이 바아(방아)로 때때로 뗘서(쪄서) 생활하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64
» 넘이·넘우 바람의종 2009.02.14 6266
2885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07
2884 카디건 바람의종 2009.02.18 6638
2883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62
288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12
2881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492
2880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73
2879 악플 바람의종 2009.02.22 6697
2878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50
2877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71
2876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792
2875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0
2874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55
2873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458
2872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6
2871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626
2870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681
2869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29
2868 바람의종 2009.03.18 5198
2867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48
2866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2
2865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