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7 00:05

믜운이

조회 수 896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믜운이

사람이름

사람이름에 ‘禿’(대머리 독)이 자주 쓰였다. <동국신속삼강행실>을 보면 한자로 禿終(독종)이라 적고 한글로 ‘믠죵이’라 하였다. ‘믜다’(禿)는 머리가 벗어졌다는 말이다. ‘믜-’가 든 이름에 ‘믜/므이(해삼)·믜놈이·믜돌이·믜심이·믜장이·믠덕이·믠동이·믠두이·믠즁이·믤돌이’가 있다. ‘민둥산’은 ‘믠동이(대머리) 산’이며 겸연쩍고 어색할 때 ‘민둥하다’고 한다.

왕숙천 동쪽 남양주시 한강 나루는 예로부터 독음진(禿音津)이라 불렀다. 현재 이곳 수석동에 ‘내미움·외미움’이란 땅이름이 있음을 볼 때 禿音은 ‘믬’이 아닌 ‘믜움’을 적었던 것 같다. 渼音津(미음진)이란 다른 표기에서 보듯 이 나루는 ‘믜움나루/믜음나루’로 불린 모양이다.

‘밉다’는 말을 적을 때도 禿이 쓰였다. ‘밉다’는 옛말로 ‘믭다’다. ‘믜운이(禿云)·믭동이·믭쇠’는 그런 뜻으로 쓰인다. ‘믜·믠·믤’ 자리에 ‘미·민·밀’로 적은 이름도 있으며, ‘미금이·미달이·미동이·미심이·민이·민동이·밀금이·밀동이’는 그런 보기다.

미운 얼굴이나 행동, 미운 짓을 하거나 밉게 생긴 사람을 ‘밉상’이라고 하며, 이름에도 ‘밉상이’가 있다. ‘밉’(未邑)이 든 이름에 ‘밉돌이·밉사리·밉쇠’가 있다. 이름은 ‘미우나 고우나’ 부모에겐 ‘금쪽같은 내 새끼’였으리라.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81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28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76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28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2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89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89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56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51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66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4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82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03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35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35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674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31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37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02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36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46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463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