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5 20:02

날마닥, 날마당

조회 수 651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날마닥, 날마당

고장말

‘-마닥’은 표준어 ‘-마다’와 같은 말이다. ‘-마다’에 ‘ㅇ’이 덧붙은 ‘-마당’은 제주도를 뺀 모든 지역에서 쓰인다. 곳에 따라서 ‘-마덩, -마동, -마둥, -매동’이 쓰이기도 한다. “단오날이 되문 해마당 씨림판이 벌어디넌데 ….”(<한국구전설화> 평북편) “느직이 거머쥐고는 서당마당 찾아다니는 기라, 골골이.” “들어오는 질목마동 거리마동….”(<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지녁마둥 콩죽을 쑤드래 ….”(위 책 강원편) 경상도 지역에서는 ‘-마당’보다는 ‘-마중’이나 ‘-매중’이 더 많이 쓰인다. “사람마중 다 그럴까만은 이런 사람이 혹 있다 말이라.” “지금 겉으마 집집매중 우물이 있지마는 ….”(위 책 경북편)

‘-마당’이 제주를 뺀 거의 모든 지역에서 쓰이는 반면에, ‘-마다’에 ‘ㄱ’이 덧붙은 ‘-마닥’이나 ‘-마독’은 전라 지역에서만 쓰인다. “근게 저녁마닥 들랑날랑 헌단 말여.” “너 저녁마독 와 자거라잉?”(위 책 전북편) “바가지를 끄니마독 씻거.”(<전남방언사전>) 전남 순천, 해남 쪽에서는 ‘-마지’가 쓰이기도 한다. “즈그 집이 와서 날마지 생각을 해.”(위 책) “청년들이 날마지 슬픈 마음으로 고통을 하고 있는데, 얼로 간 줄을 몰라라우.”(<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마다’의 또다른 형태인 ‘-마지르’는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쓰는 말이다. “날마지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47
1390 맞히다와 맞추다 바람의종 2010.02.06 10701
1389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66
1388 쓰이다, 쓰여, 씐 바람의종 2010.02.06 8252
1387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495
1386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7
1385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9
1384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272
1383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434
1382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62
1381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77
1380 북녘의 속담 바람의종 2010.02.08 8435
1379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57
1378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01
1377 박스오피스 바람의종 2010.02.08 8566
1376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6
1375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672
1374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41
1373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59
1372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041
1371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38
1370 치르다·치루다 바람의종 2010.02.12 13078
1369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