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5 20:02

날마닥, 날마당

조회 수 652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날마닥, 날마당

고장말

‘-마닥’은 표준어 ‘-마다’와 같은 말이다. ‘-마다’에 ‘ㅇ’이 덧붙은 ‘-마당’은 제주도를 뺀 모든 지역에서 쓰인다. 곳에 따라서 ‘-마덩, -마동, -마둥, -매동’이 쓰이기도 한다. “단오날이 되문 해마당 씨림판이 벌어디넌데 ….”(<한국구전설화> 평북편) “느직이 거머쥐고는 서당마당 찾아다니는 기라, 골골이.” “들어오는 질목마동 거리마동….”(<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편) “지녁마둥 콩죽을 쑤드래 ….”(위 책 강원편) 경상도 지역에서는 ‘-마당’보다는 ‘-마중’이나 ‘-매중’이 더 많이 쓰인다. “사람마중 다 그럴까만은 이런 사람이 혹 있다 말이라.” “지금 겉으마 집집매중 우물이 있지마는 ….”(위 책 경북편)

‘-마당’이 제주를 뺀 거의 모든 지역에서 쓰이는 반면에, ‘-마다’에 ‘ㄱ’이 덧붙은 ‘-마닥’이나 ‘-마독’은 전라 지역에서만 쓰인다. “근게 저녁마닥 들랑날랑 헌단 말여.” “너 저녁마독 와 자거라잉?”(위 책 전북편) “바가지를 끄니마독 씻거.”(<전남방언사전>) 전남 순천, 해남 쪽에서는 ‘-마지’가 쓰이기도 한다. “즈그 집이 와서 날마지 생각을 해.”(위 책) “청년들이 날마지 슬픈 마음으로 고통을 하고 있는데, 얼로 간 줄을 몰라라우.”(<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마다’의 또다른 형태인 ‘-마지르’는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쓰는 말이다. “날마지르”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35
1390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15
1389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16
1388 라면 바람의종 2010.05.10 9518
1387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1386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23
1385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6
138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30
1383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33
1382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39
1381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41
1380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2
1379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44
1378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48
1377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49
1376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56
1375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61
1374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63
1373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68
1372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69
1371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1
137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71
1369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