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28

오리

조회 수 662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리

짐승이름

솟대에 올라앉은 새는 오리다. 오리는 물과 뭍을, 하늘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살아가기에 독특한 상징을 얻은 것인가. 한마디로 오리는 물새다. 물은 농사를 짓는 데 삶의 결정적인 열쇠였다. 시기에 알맞은 물이 있어야 풍년을 기약할 수도, 나라 힘을 기를 수도 있었다. 그래서인가 솟대에서처럼 오리는 다분히 물 신앙의 상징처럼 쓰였을 것이다.

오리는 다가올 재해를 미리 막는 영험한 구실을 하기도 한다. 풍수가들이 이르는바, 배가 떠가는 행주형(行舟形)의 땅에서라면, 불안정한 배에 안정을 더하고자 배의 돛대에 값하는 솟대를 세우는 일이 가끔 있었다.

불이 나도 그러하다. 또 오리는 해독력이 아주 강하다. 시궁창에서도 썩은 먹이를 찾아 먹으면서 살아가기에 사람들은 오리 고기를 즐겨 먹는다. 불포화 지방이기도 해서 그런다지만.

옛글에 오리는 올히(두시언해)였다. 조선관역어에는 아계(我係)였다. 한마디로 위를 뜻하는 ‘올’에 접미사 ‘-이’가 녹아붙어 이루어진 말로 보인다. ‘오라버니, 올벼’의 ‘올’이 그러한 경우라고 할 것이다. ‘올-옫-옷-웃-욷-우게’의 낱말겨레를 떠올릴 수 있기에 그러하다. 방언으로 위(上)를, 옷을 우게라고도 이르는바, 이것이 바로 아가(올기)와 가장 가까운 모습이다. 압록강을 얄루장이라 한다. 여기 얄루도 올과 무관하지 아니하다. 저 높은 하늘을 바라 솟대만큼 목이 길었느니.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287
2908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444
2907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546
290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932
2905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53
2904 비위맞추다 바람의종 2008.01.14 17847
2903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965
2902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781
2901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138
290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80
2899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501
2898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851
2897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446
289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295
2895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99
2894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18
2893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752
2892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09
2891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54
2890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68
2889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16
2888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26
2887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7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