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8 15:52

오장이

조회 수 726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장이

사람이름

1668년, 서면에 사는 박운(朴雲)이 소지(所志)를 올렸다. “이 몸이 지난 임신년(1632) 2월, 관노 말생이가 지어먹던 논 열네 마지기를 사들여 지금까지 부친 지 서른일곱 해가 지났습니다. 말생이의 조카인 관비 ‘오작이’(吾作只)가 어미 등이 돌아간 뒤 청원서(정장)를 내어 본디대로 무르려고 합니다. 이치를 따지고 뜻을 세워 문서를 발급‘하기삼’(爲只爲).” 글말 ‘하기삼’은 ‘하도록 해주십시오’라는 뜻이다. 구실아치의 ‘뎨김’(판결)과 수결을 받은 소지는 판결문이 되었다.

‘오작이’와 비슷한 이름에 ‘오장이’도 있다. ‘오쟁이’(오장이)는 짚으로 엮은 망태로, 고장에 따라 ‘오재기’(오작이)로도 부른다. 오쟁이보다 큰 ‘섬’은 두 가마니 크기이며, 벼 백 섬은 한 ‘담불’이라 한다. ‘섬이·담불이’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조선 때 논밭은 ‘되지기·마지기·섬지기’로 헤아렸는데, 한 되, 한 말, 한 섬을 뿌릴 만한 땅이다. 고장 따라 다르나 논 한 마지기는 대개 약 660㎡(200평)이다. 더불어 고대 때부터 ‘먹·짐’(結·負/卜)과 같은 단위를 썼다. 1먹은 가로세로 33보(약 40m), 약 1600㎡(약 480평)이며, 100짐, 1000뭇(束), 10000줌(把)에 해당한다.

‘오쟁이 진 사내’라는 말이 있다. 다른 사내에게 아내 뺏긴 이를 하필 그리 부를까? 우리말 표현을 살피면 얄궂은 것도 적잖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44
290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20
2907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08
2906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25
2905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76
290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1
2903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750
2902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392
2901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10
2900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43
2899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052
2898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80
2897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68
2896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42
»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67
2894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76
2893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583
2892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493
2891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12
2890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854
2889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79
2888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1
2887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