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8 15:52

오장이

조회 수 729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장이

사람이름

1668년, 서면에 사는 박운(朴雲)이 소지(所志)를 올렸다. “이 몸이 지난 임신년(1632) 2월, 관노 말생이가 지어먹던 논 열네 마지기를 사들여 지금까지 부친 지 서른일곱 해가 지났습니다. 말생이의 조카인 관비 ‘오작이’(吾作只)가 어미 등이 돌아간 뒤 청원서(정장)를 내어 본디대로 무르려고 합니다. 이치를 따지고 뜻을 세워 문서를 발급‘하기삼’(爲只爲).” 글말 ‘하기삼’은 ‘하도록 해주십시오’라는 뜻이다. 구실아치의 ‘뎨김’(판결)과 수결을 받은 소지는 판결문이 되었다.

‘오작이’와 비슷한 이름에 ‘오장이’도 있다. ‘오쟁이’(오장이)는 짚으로 엮은 망태로, 고장에 따라 ‘오재기’(오작이)로도 부른다. 오쟁이보다 큰 ‘섬’은 두 가마니 크기이며, 벼 백 섬은 한 ‘담불’이라 한다. ‘섬이·담불이’도 사람이름에 보인다.

조선 때 논밭은 ‘되지기·마지기·섬지기’로 헤아렸는데, 한 되, 한 말, 한 섬을 뿌릴 만한 땅이다. 고장 따라 다르나 논 한 마지기는 대개 약 660㎡(200평)이다. 더불어 고대 때부터 ‘먹·짐’(結·負/卜)과 같은 단위를 썼다. 1먹은 가로세로 33보(약 40m), 약 1600㎡(약 480평)이며, 100짐, 1000뭇(束), 10000줌(把)에 해당한다.

‘오쟁이 진 사내’라는 말이 있다. 다른 사내에게 아내 뺏긴 이를 하필 그리 부를까? 우리말 표현을 살피면 얄궂은 것도 적잖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00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02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79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280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73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68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7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45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76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44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412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16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93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45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81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53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61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59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82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15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