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3:56

니서껀 내서껀

조회 수 694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니서껀 내서껀

고장말

‘니서껀 내서껀’은 경상말 ‘니캉 내캉’, 제주말 ‘니영 내영, 니광 내광’, 평안말 ‘니땅 내땅, 니당 내당’으로 바꾸어 볼 수 있다. ‘-서껀’은 ‘-이랑 함께’의 의미를 갖는 말로, 주로 서울 이북지역에서 쓰인다.

“떡서껀 고기서껀 많이 먹었다.” “그래 가족서껀 인차 데려올 테지?”(<귀향> 정창도·북녘소설) “종호는 교창이서껀 말리는 것도 뿌리치고 나갔다.”(<아버지와 아들> 김국향) “아내서껀 애들서껀 처가에 가서 인저 뭘 좀 가져와.”(<한국구비문학대계> 인천시편) ‘-서껀’은 남북 큰사전들에서 표준어나 문화어로 다루지만, 서울 이남에서는 그 쓰임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규범어로 보기보다 주로 북녘에서 쓰이는 고장말로 보는 것이 더 온당할 것 같다.

‘-서껀’은 ‘섞-’과 어미 ‘-어’가 결합된 부사형 ‘섞어’에 ‘ㄴ’이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서껀’의 다른 형태는 ‘-서꺼랑’과 ‘-서꺼’다. ‘-서꺼랑’은 평안 쪽, ‘-서꺼’는 함경 쪽에서 주로 쓰인다. “김군서꺼랑 형님서꺼랑 복남이서꺼랑 여럿이 같이 간다.”(<평북방언사전> 김병제) “떡서꺼 먹어놓으니까 밥 생각이 없수다.”(<함북방언사전> 김태균)

‘-서껀’은 조사 ‘-같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원통 가서 기다리겠다구 새벽서껀 나갔수.”(<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이제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43
290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23
2907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10
2906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25
2905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76
290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5
2903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750
2902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392
2901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10
2900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45
2899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056
2898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80
2897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69
»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46
2895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67
2894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76
2893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583
2892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01
2891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14
2890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865
2889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79
2888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2
2887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