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27 13:56

니서껀 내서껀

조회 수 697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니서껀 내서껀

고장말

‘니서껀 내서껀’은 경상말 ‘니캉 내캉’, 제주말 ‘니영 내영, 니광 내광’, 평안말 ‘니땅 내땅, 니당 내당’으로 바꾸어 볼 수 있다. ‘-서껀’은 ‘-이랑 함께’의 의미를 갖는 말로, 주로 서울 이북지역에서 쓰인다.

“떡서껀 고기서껀 많이 먹었다.” “그래 가족서껀 인차 데려올 테지?”(<귀향> 정창도·북녘소설) “종호는 교창이서껀 말리는 것도 뿌리치고 나갔다.”(<아버지와 아들> 김국향) “아내서껀 애들서껀 처가에 가서 인저 뭘 좀 가져와.”(<한국구비문학대계> 인천시편) ‘-서껀’은 남북 큰사전들에서 표준어나 문화어로 다루지만, 서울 이남에서는 그 쓰임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규범어로 보기보다 주로 북녘에서 쓰이는 고장말로 보는 것이 더 온당할 것 같다.

‘-서껀’은 ‘섞-’과 어미 ‘-어’가 결합된 부사형 ‘섞어’에 ‘ㄴ’이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서껀’의 다른 형태는 ‘-서꺼랑’과 ‘-서꺼’다. ‘-서꺼랑’은 평안 쪽, ‘-서꺼’는 함경 쪽에서 주로 쓰인다. “김군서꺼랑 형님서꺼랑 복남이서꺼랑 여럿이 같이 간다.”(<평북방언사전> 김병제) “떡서꺼 먹어놓으니까 밥 생각이 없수다.”(<함북방언사전> 김태균)

‘-서껀’은 조사 ‘-같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원통 가서 기다리겠다구 새벽서껀 나갔수.”(<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이제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3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815
2908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28
2907 너더리 바람의종 2009.02.17 5929
2906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29
2905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930
2904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32
2903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34
2902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35
2901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936
2900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940
2899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48
2898 육개장 바람의종 2008.04.28 5950
2897 놀잇감, 장난감 바람의종 2010.04.01 5958
2896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965
2895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70
2894 바람 바람의종 2008.04.04 5973
2893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981
2892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82
2891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983
2890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89
2889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99
2888 여성 바람의종 2009.07.06 6001
2887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