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5 17:40

두더지

조회 수 642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더지

짐승이름

칠성님은 지하국 매화 부인과 혼인해 살았으나 아이가 없었는데, 칠석날 하늘에 빈 끝에 태기가 있어 마침내 일곱 아이를 낳게 된다. 칠성님은 기쁜 한편, 탄식했다. 짐승들도 새끼가 일곱이면 많거늘 사람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고. 이 말을 들은 부인은 속이 상하여 먹는 것을 끊고 굶어 죽는다.

칠성님은 용녀 부인에게 다시 장가를 들었지만 아이들은 매우 사랑하였다. 이를 시기한 용녀 부인이 일부러 병이 든 것처럼 속이고 아이들에게 산 짐승의 간을 구해 오라고 하였다. 깊은 산으로 가는 칠형제 앞에 갑자기 금빛 사슴 한 마리가 나타났다. 나는 너희 생모의 화신이니 내 간 한 점을 갖다주고 잘 살피라고 했다. 말 그대로 계모는 생간을 먹는 체하다가 피만 입술에 바르고 간은 요강에 버렸다. 그러자 하늘에서 날벼락이 치고 계모는 갑자기 눈먼 두더지가 되었다.

옛말로 두더지는 ‘두디쥐’였으나, 근대 들어 ‘두더쥐’가 된다. 두디쥐의 두디는 ‘두디다’로, 땅을 이르는 둗(다-닫-닿)에서 비롯하였고, 뒤지다의 뜻으로 쓰였다. 그러니까 땅을 파고 뒤져 가면서 먹을거리를 찾아다니는 쥐를 이름이다. 동사 두디다의 어간에 쥐가 붙어 이루어진 짜임새다. ‘두디-두지’에서 두디의 ‘두’가 소리의 거꾸로 닮음을 따라서 뒤지다로 변하여 오늘에 쓰이게 되었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1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88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96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79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260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73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68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7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45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75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40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397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16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93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33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81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36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49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24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63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10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