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5 17:40

두더지

조회 수 642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더지

짐승이름

칠성님은 지하국 매화 부인과 혼인해 살았으나 아이가 없었는데, 칠석날 하늘에 빈 끝에 태기가 있어 마침내 일곱 아이를 낳게 된다. 칠성님은 기쁜 한편, 탄식했다. 짐승들도 새끼가 일곱이면 많거늘 사람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고. 이 말을 들은 부인은 속이 상하여 먹는 것을 끊고 굶어 죽는다.

칠성님은 용녀 부인에게 다시 장가를 들었지만 아이들은 매우 사랑하였다. 이를 시기한 용녀 부인이 일부러 병이 든 것처럼 속이고 아이들에게 산 짐승의 간을 구해 오라고 하였다. 깊은 산으로 가는 칠형제 앞에 갑자기 금빛 사슴 한 마리가 나타났다. 나는 너희 생모의 화신이니 내 간 한 점을 갖다주고 잘 살피라고 했다. 말 그대로 계모는 생간을 먹는 체하다가 피만 입술에 바르고 간은 요강에 버렸다. 그러자 하늘에서 날벼락이 치고 계모는 갑자기 눈먼 두더지가 되었다.

옛말로 두더지는 ‘두디쥐’였으나, 근대 들어 ‘두더쥐’가 된다. 두디쥐의 두디는 ‘두디다’로, 땅을 이르는 둗(다-닫-닿)에서 비롯하였고, 뒤지다의 뜻으로 쓰였다. 그러니까 땅을 파고 뒤져 가면서 먹을거리를 찾아다니는 쥐를 이름이다. 동사 두디다의 어간에 쥐가 붙어 이루어진 짜임새다. ‘두디-두지’에서 두디의 ‘두’가 소리의 거꾸로 닮음을 따라서 뒤지다로 변하여 오늘에 쓰이게 되었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66
2908 똔똔 / 도긴 개긴 바람의종 2012.07.13 15667
2907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711
2906 폭염 바람의종 2012.07.05 8785
2905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19
2904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70
2903 표지 / 표시 바람의종 2012.07.04 11309
2902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바람의종 2012.07.03 8664
2901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바람의종 2012.07.03 11448
2900 복구 / 복원 바람의종 2012.07.02 7590
2899 대비, 대처 바람의종 2012.06.26 7358
2898 엘레지, 사리 바람의종 2012.06.26 8883
2897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30
2896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411
2895 불쾌한 반응 바람의종 2012.06.20 9474
2894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0
2893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79
2892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687
2891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85
2890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2889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55
2888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92
2887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5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