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2 22:37

핸드폰

조회 수 796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핸드폰

래어

곳곳에 영어마을이 세워지는 등 우리나라가 ‘영어 광풍’에 휩싸여 있다는 게 틀리지 않은 판단이겠다. 지난 세기 이래 한국인의 이상향(?) 미국을 향한 바람이 바로 이 광풍으로 나타나는 것일진대, 이른바 ‘콩글리시’는 물러가야 한다고 여기는 분들이 꽤 있어 보인다.

콩글리시는 적어도 두 종류가 있다. 국어를 직역해 영어로 옮겼으나 통하지 않는 것(구·문장 등), 영어를 재료로 만들어 우리끼리 쓰고는 있으나 역시 영어에는 없는 것(낱말 등)이다.

나중 콩글리시의 대표라 할 ‘핸드폰’(handphone)은 뜻대로 ‘손전화’로 이르기도 한다. 어떤 이는 이를 ‘그럼 발전화도 있냐’며 타박하기도 한다. 그럴듯한 지적 같지만, 휴대전화를 이를 때 ‘손’을 붙이는 다른 언어도 분명 있다. 가까운 중국에서는 ‘손에 들고 다니는 전화’라는 뜻으로 ‘서우티뎬화’(手提電話), ‘서우지’(手机)라고 하며, 독일에서는 ‘모빌텔레폰’(Mobiltelefon·이동전화), ‘풍크텔레폰’(Funktelefon·무선전화)이라고도 하지만 간단히 ‘핸디’(Handy)라고도 한다. ‘핸디’가 우리의 ‘핸드폰’과 사정이 비슷한데, 영어권에서는 쓰지 않는 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독일말로는 ‘한디’가 되는 것을 영어식으로 ‘핸디’라고 발음하는 것도 특이하다.

바삐 돌아가는 세상에서 우리와 중국·독일이 입을 맞추어 말을 만들어 낸 것도 아닐 터. 사람들 생각이 비슷비슷한 데가 있나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33
2116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26
2115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558
2114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75
2113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48
211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33
2111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44
2110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7040
2109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41
2108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46
2107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69
2106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110
2105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91
2104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141
210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503
2102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204
2101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5033
2100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411
2099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919
»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69
2097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38
2096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43
2095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