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2 22:37

핸드폰

조회 수 790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핸드폰

래어

곳곳에 영어마을이 세워지는 등 우리나라가 ‘영어 광풍’에 휩싸여 있다는 게 틀리지 않은 판단이겠다. 지난 세기 이래 한국인의 이상향(?) 미국을 향한 바람이 바로 이 광풍으로 나타나는 것일진대, 이른바 ‘콩글리시’는 물러가야 한다고 여기는 분들이 꽤 있어 보인다.

콩글리시는 적어도 두 종류가 있다. 국어를 직역해 영어로 옮겼으나 통하지 않는 것(구·문장 등), 영어를 재료로 만들어 우리끼리 쓰고는 있으나 역시 영어에는 없는 것(낱말 등)이다.

나중 콩글리시의 대표라 할 ‘핸드폰’(handphone)은 뜻대로 ‘손전화’로 이르기도 한다. 어떤 이는 이를 ‘그럼 발전화도 있냐’며 타박하기도 한다. 그럴듯한 지적 같지만, 휴대전화를 이를 때 ‘손’을 붙이는 다른 언어도 분명 있다. 가까운 중국에서는 ‘손에 들고 다니는 전화’라는 뜻으로 ‘서우티뎬화’(手提電話), ‘서우지’(手机)라고 하며, 독일에서는 ‘모빌텔레폰’(Mobiltelefon·이동전화), ‘풍크텔레폰’(Funktelefon·무선전화)이라고도 하지만 간단히 ‘핸디’(Handy)라고도 한다. ‘핸디’가 우리의 ‘핸드폰’과 사정이 비슷한데, 영어권에서는 쓰지 않는 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독일말로는 ‘한디’가 되는 것을 영어식으로 ‘핸디’라고 발음하는 것도 특이하다.

바삐 돌아가는 세상에서 우리와 중국·독일이 입을 맞추어 말을 만들어 낸 것도 아닐 터. 사람들 생각이 비슷비슷한 데가 있나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05
1346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114
1345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09
1344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4012
1343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20
1342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3
1341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13
1340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17
»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01
1338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903
1337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56
1336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956
1335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44
1334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413
1333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037
1332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71
1331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96
1330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61
1329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2
1328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30
1327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954
1326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25
1325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