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1

가마귀

조회 수 921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마귀

사람이름

세조 4년(1458년), 조영무 장군의 손자 조완규는 계유정난 때 간적으로 몰렸다. 부인 ‘조이’, 딸 ‘가이’, 누이 ‘정정’, 첩의 딸 ‘옥금이’뿐만 아니라 조카인 ‘가마귀’(加麻耳) 또한 노비로 갔다. 10년 지나 가마귀와 정정은 풀려났다. 까마귀는 중세말로 ‘가마괴’인데 이름에 ‘가마귀’로 쓰이고 있다. 땅이름에 ‘가마괴목’(加<9EBF>塊項)이 있음을 볼 때 ‘가마괴·가마귀’가 함께 쓰였던 것 같다. ‘가마귀’는 오랑캐 사람이름에도 보인다.

‘귀’로 끝나는 이름에 ‘개귀·금귀·단귀·돗귀·멍귀·쇠귀·죵귀·칠귀’ 따위가 있다. ‘개귀·돗귀·쇠귀’는 ‘개·돼지·소’의 귀와 닮은 모양이다. 나귀·방귀·자귀라는 이름도 있다. 날 방향이 자루 방향과 나란하면 ‘도끼’, 수직하면 ‘자귀’다. 자귀보다 큰 것이 ‘까뀌’다. ‘귀’로 시작되는 이름에 ‘귀개·귀금이·귀덕이·귀동이·귀딘이·귀망이·귀먹덩이·귀복이·귀톨이’가 있다. ‘멍귀·귀망이’는 같은 뜻의 말로 생각된다. 고장말 ‘귀먹댕이’(귀머거리)는 ‘귀먹덩이’의 내림인 모양이다.

귀는 ‘바깥귀·가운뎃귀·속귀’로 나뉘며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을 ‘귓불/귓밥’이라고 한다. 남의 말을 잘 들으려면 먼저 귀를 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를 존중한다면 마음으로도 소통은 가능할 것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0
1566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38
156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41
1564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4
1563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47
1562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148
1561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152
1560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53
1559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55
155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6
1557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59
1556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60
1555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2
155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67
1553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70
1552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75
1551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81
1550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81
1549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81
1548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81
154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82
1546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87
1545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