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0 20:42

너한질라

조회 수 6110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한질라

고장말

‘-한질라’는 표준말 ‘-조차’와 대응되는 말로, 주로 전라도에서 쓰이는데, 쓰임새는 사뭇 다르다. ‘-한질라’는 애달프고 ‘폭폭할’ 때 하소연하며 쓸 때가 많다. “너한질라 글먼 나가 폭폭히서 살긋냐?” “왜 안 들오고 거가 서 지시요예? 발한질라 벗고.”(<혼불> 최명희)

‘-한질라’는 ‘할라·할래·할차·할채·한지’ 꼴로도 쓰인다. “상것도 못되는 종년이 아직 임자할라 없는디.”(위 책) “그 존 살림 다 짖어묵고 을판(막판)에는 꾸랭이를 잡든마는 저 쥐만한 가스나그할차 저 꼴인만 읭”(<자랏골 비가> 송기숙) “그래 제 동상할래 찾어 갖구서 잘 살더랴아.”(<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어치게 내 자식들할래 괄씨허는디 어치게 살어.”(위 책, 전북편)

‘-할채’는 충남 또는 인접한 전북 서북에서도 쓰인다. “형수할채 같이 사는데 매일같이 쌀 두 되, 세 되 시동생이가 팔어다 주지 않으면 굴뚝에서 연기가 안 나네.” “싸나가지고 뭐 집이서고 어디서고 뭐 어거지랄 부리면서 기운할채 시내.”(위 책, 전북 완주편)

‘-한질라’와 ‘-한지’는 고스란히 전라말이다. ‘-한질라’는 ‘-한지’의 ‘-한ㅈ’과 ‘-할라’의 ‘-ㄹ라’가 합친 말이다. 전라말의 ‘틀브다’가 ‘틀리다’와 ‘다르다’의 방언형 ‘달브다’가 합친 말인 것처럼, 두 말의 형태가 어울려 한 단어를 만드는 방식이 고장말에서는 흔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03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15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79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294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75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68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7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55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81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44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438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516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104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53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83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3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79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87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481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02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23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