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0 20:42

너한질라

조회 수 6102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한질라

고장말

‘-한질라’는 표준말 ‘-조차’와 대응되는 말로, 주로 전라도에서 쓰이는데, 쓰임새는 사뭇 다르다. ‘-한질라’는 애달프고 ‘폭폭할’ 때 하소연하며 쓸 때가 많다. “너한질라 글먼 나가 폭폭히서 살긋냐?” “왜 안 들오고 거가 서 지시요예? 발한질라 벗고.”(<혼불> 최명희)

‘-한질라’는 ‘할라·할래·할차·할채·한지’ 꼴로도 쓰인다. “상것도 못되는 종년이 아직 임자할라 없는디.”(위 책) “그 존 살림 다 짖어묵고 을판(막판)에는 꾸랭이를 잡든마는 저 쥐만한 가스나그할차 저 꼴인만 읭”(<자랏골 비가> 송기숙) “그래 제 동상할래 찾어 갖구서 잘 살더랴아.”(<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어치게 내 자식들할래 괄씨허는디 어치게 살어.”(위 책, 전북편)

‘-할채’는 충남 또는 인접한 전북 서북에서도 쓰인다. “형수할채 같이 사는데 매일같이 쌀 두 되, 세 되 시동생이가 팔어다 주지 않으면 굴뚝에서 연기가 안 나네.” “싸나가지고 뭐 집이서고 어디서고 뭐 어거지랄 부리면서 기운할채 시내.”(위 책, 전북 완주편)

‘-한질라’와 ‘-한지’는 고스란히 전라말이다. ‘-한질라’는 ‘-한지’의 ‘-한ㅈ’과 ‘-할라’의 ‘-ㄹ라’가 합친 말이다. 전라말의 ‘틀브다’가 ‘틀리다’와 ‘다르다’의 방언형 ‘달브다’가 합친 말인 것처럼, 두 말의 형태가 어울려 한 단어를 만드는 방식이 고장말에서는 흔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671
2908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515
2907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604
2906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972
2905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53
2904 비위맞추다 바람의종 2008.01.14 17853
2903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8016
2902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860
2901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196
2900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80
2899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509
2898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897
2897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504
289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365
2895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601
2894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24
2893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798
2892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768
2891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85
2890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68
2889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24
2888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777
2887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8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