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0 20:42

너한질라

조회 수 6101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한질라

고장말

‘-한질라’는 표준말 ‘-조차’와 대응되는 말로, 주로 전라도에서 쓰이는데, 쓰임새는 사뭇 다르다. ‘-한질라’는 애달프고 ‘폭폭할’ 때 하소연하며 쓸 때가 많다. “너한질라 글먼 나가 폭폭히서 살긋냐?” “왜 안 들오고 거가 서 지시요예? 발한질라 벗고.”(<혼불> 최명희)

‘-한질라’는 ‘할라·할래·할차·할채·한지’ 꼴로도 쓰인다. “상것도 못되는 종년이 아직 임자할라 없는디.”(위 책) “그 존 살림 다 짖어묵고 을판(막판)에는 꾸랭이를 잡든마는 저 쥐만한 가스나그할차 저 꼴인만 읭”(<자랏골 비가> 송기숙) “그래 제 동상할래 찾어 갖구서 잘 살더랴아.”(<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어치게 내 자식들할래 괄씨허는디 어치게 살어.”(위 책, 전북편)

‘-할채’는 충남 또는 인접한 전북 서북에서도 쓰인다. “형수할채 같이 사는데 매일같이 쌀 두 되, 세 되 시동생이가 팔어다 주지 않으면 굴뚝에서 연기가 안 나네.” “싸나가지고 뭐 집이서고 어디서고 뭐 어거지랄 부리면서 기운할채 시내.”(위 책, 전북 완주편)

‘-한질라’와 ‘-한지’는 고스란히 전라말이다. ‘-한질라’는 ‘-한지’의 ‘-한ㅈ’과 ‘-할라’의 ‘-ㄹ라’가 합친 말이다. 전라말의 ‘틀브다’가 ‘틀리다’와 ‘다르다’의 방언형 ‘달브다’가 합친 말인 것처럼, 두 말의 형태가 어울려 한 단어를 만드는 방식이 고장말에서는 흔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93
»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101
531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973
530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53
529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7
528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527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32
526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96
525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29
524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523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46
522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3
521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63
520 바람의종 2008.11.22 6114
519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956
518 방마치 바람의종 2008.11.21 6707
517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2
516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94
515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21
514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76
513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84
512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97
511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