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한질라

by 바람의종 posted Dec 10,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한질라

고장말

‘-한질라’는 표준말 ‘-조차’와 대응되는 말로, 주로 전라도에서 쓰이는데, 쓰임새는 사뭇 다르다. ‘-한질라’는 애달프고 ‘폭폭할’ 때 하소연하며 쓸 때가 많다. “너한질라 글먼 나가 폭폭히서 살긋냐?” “왜 안 들오고 거가 서 지시요예? 발한질라 벗고.”(<혼불> 최명희)

‘-한질라’는 ‘할라·할래·할차·할채·한지’ 꼴로도 쓰인다. “상것도 못되는 종년이 아직 임자할라 없는디.”(위 책) “그 존 살림 다 짖어묵고 을판(막판)에는 꾸랭이를 잡든마는 저 쥐만한 가스나그할차 저 꼴인만 읭”(<자랏골 비가> 송기숙) “그래 제 동상할래 찾어 갖구서 잘 살더랴아.”(<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어치게 내 자식들할래 괄씨허는디 어치게 살어.”(위 책, 전북편)

‘-할채’는 충남 또는 인접한 전북 서북에서도 쓰인다. “형수할채 같이 사는데 매일같이 쌀 두 되, 세 되 시동생이가 팔어다 주지 않으면 굴뚝에서 연기가 안 나네.” “싸나가지고 뭐 집이서고 어디서고 뭐 어거지랄 부리면서 기운할채 시내.”(위 책, 전북 완주편)

‘-한질라’와 ‘-한지’는 고스란히 전라말이다. ‘-한질라’는 ‘-한지’의 ‘-한ㅈ’과 ‘-할라’의 ‘-ㄹ라’가 합친 말이다. 전라말의 ‘틀브다’가 ‘틀리다’와 ‘다르다’의 방언형 ‘달브다’가 합친 말인 것처럼, 두 말의 형태가 어울려 한 단어를 만드는 방식이 고장말에서는 흔하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