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08 02:16

퍼주기

조회 수 6975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주기

언어예절

“함지에 보리밥을 퍼 담고, 두레박으로 물을 퍼 올리며, 채독에서 쌀을 한 보시기 퍼 동냥을 준다”처럼 활용하여 ‘퍼-’로 쓰는 말에 ‘푸다’가 있다. 이에 ‘주다’를 합치고 뒷가지 ‘기’를 붙여 ‘퍼주기’를 만들어 쓴다.

몇 해 이 말의 폭발력은 대단했다. 2000년대 초부터 반북정서를 대변해, 햇볕·포용, 평화·번영 등 정부의 대북정책을 뭉뚱그려 비판하는 용어로 쓰였다. 말 자체가 주는 단순성과 적확성으로 정부의 대북정책을 꼬집고 무력화하는 데 큰 구실을 했다.

이 말을 부려쓰는 쪽에서는 애초 헤아림 같은 것은 버렸다. 인도적 지원과 경제협력 원조를 구별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싸잡은 것이다. 남북 관계를 깊이 생각하고 배려하는 이의 ‘말씀’은 아니란 말이다.

이후 ‘퍼주기’의 쓰임은 선거, 외교·통상, 단체교섭 등으로 그 영역이 넓어진다. 선심 공약, 선심 정책, 조공 외교, 선물 외교 …에서 ‘퍼주기’가 그 앞말을 대신했다. 이는 고정된 말뜻으로 굳어지지 않고 살아 있는 말로서 여러 언어 환경에서 적응한다는 뜻이겠다.

나눔·베풂·선심·보시보다 떳떳하고 좋은 게 뭐가 있겠는가. 보답을 바라지 않는다. 본디 대가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와는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굳이 따지자면 ‘상호주의’나 ‘주고받기’가 상대되는 말이 되겠지만, 최근 들어서는 ‘퍼주기’도 ‘주고받기’도 듣기가 어려워졌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49
1346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117
1345 앙징맞다 / 한자어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08.12.15 10715
1344 금세, 금새 / 여태, 입때 / 늘상, 항상 바람의종 2008.12.15 14012
1343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29
1342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4
1341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16
1340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27
1339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25
1338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905
1337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75
1336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969
1335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64
1334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432
1333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069
1332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73
1331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102
1330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64
1329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27
1328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33
»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975
1326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229
1325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