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08 02:16

퍼주기

조회 수 684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주기

언어예절

“함지에 보리밥을 퍼 담고, 두레박으로 물을 퍼 올리며, 채독에서 쌀을 한 보시기 퍼 동냥을 준다”처럼 활용하여 ‘퍼-’로 쓰는 말에 ‘푸다’가 있다. 이에 ‘주다’를 합치고 뒷가지 ‘기’를 붙여 ‘퍼주기’를 만들어 쓴다.

몇 해 이 말의 폭발력은 대단했다. 2000년대 초부터 반북정서를 대변해, 햇볕·포용, 평화·번영 등 정부의 대북정책을 뭉뚱그려 비판하는 용어로 쓰였다. 말 자체가 주는 단순성과 적확성으로 정부의 대북정책을 꼬집고 무력화하는 데 큰 구실을 했다.

이 말을 부려쓰는 쪽에서는 애초 헤아림 같은 것은 버렸다. 인도적 지원과 경제협력 원조를 구별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싸잡은 것이다. 남북 관계를 깊이 생각하고 배려하는 이의 ‘말씀’은 아니란 말이다.

이후 ‘퍼주기’의 쓰임은 선거, 외교·통상, 단체교섭 등으로 그 영역이 넓어진다. 선심 공약, 선심 정책, 조공 외교, 선물 외교 …에서 ‘퍼주기’가 그 앞말을 대신했다. 이는 고정된 말뜻으로 굳어지지 않고 살아 있는 말로서 여러 언어 환경에서 적응한다는 뜻이겠다.

나눔·베풂·선심·보시보다 떳떳하고 좋은 게 뭐가 있겠는가. 보답을 바라지 않는다. 본디 대가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와는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굳이 따지자면 ‘상호주의’나 ‘주고받기’가 상대되는 말이 되겠지만, 최근 들어서는 ‘퍼주기’도 ‘주고받기’도 듣기가 어려워졌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49
268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27
267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723
266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42
265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77
264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189
263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68
262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6001
261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02
260 팥죽에 새알심 바람의종 2010.11.01 11169
259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962
258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343
257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8999
256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779
255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812
254 퍼센트포인트 바람의종 2011.11.24 13309
»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48
252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64
251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846
250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019
249 편한 마음으로 風文 2021.09.07 918
248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590
247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5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