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08 02:16

퍼주기

조회 수 691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퍼주기

언어예절

“함지에 보리밥을 퍼 담고, 두레박으로 물을 퍼 올리며, 채독에서 쌀을 한 보시기 퍼 동냥을 준다”처럼 활용하여 ‘퍼-’로 쓰는 말에 ‘푸다’가 있다. 이에 ‘주다’를 합치고 뒷가지 ‘기’를 붙여 ‘퍼주기’를 만들어 쓴다.

몇 해 이 말의 폭발력은 대단했다. 2000년대 초부터 반북정서를 대변해, 햇볕·포용, 평화·번영 등 정부의 대북정책을 뭉뚱그려 비판하는 용어로 쓰였다. 말 자체가 주는 단순성과 적확성으로 정부의 대북정책을 꼬집고 무력화하는 데 큰 구실을 했다.

이 말을 부려쓰는 쪽에서는 애초 헤아림 같은 것은 버렸다. 인도적 지원과 경제협력 원조를 구별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싸잡은 것이다. 남북 관계를 깊이 생각하고 배려하는 이의 ‘말씀’은 아니란 말이다.

이후 ‘퍼주기’의 쓰임은 선거, 외교·통상, 단체교섭 등으로 그 영역이 넓어진다. 선심 공약, 선심 정책, 조공 외교, 선물 외교 …에서 ‘퍼주기’가 그 앞말을 대신했다. 이는 고정된 말뜻으로 굳어지지 않고 살아 있는 말로서 여러 언어 환경에서 적응한다는 뜻이겠다.

나눔·베풂·선심·보시보다 떳떳하고 좋은 게 뭐가 있겠는가. 보답을 바라지 않는다. 본디 대가를 받느냐 받지 않느냐와는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굳이 따지자면 ‘상호주의’나 ‘주고받기’가 상대되는 말이 되겠지만, 최근 들어서는 ‘퍼주기’도 ‘주고받기’도 듣기가 어려워졌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42
3194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16
3193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17
3192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21
3191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22
3190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522
3189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28
318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28
3187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29
318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29
3185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31
3184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35
3183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37
3182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538
3181 ‘이’와 ‘히’ 風文 2023.05.26 1539
3180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540
3179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541
3178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41
3177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42
317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45
3175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45
317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551
3173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