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6 13:15

충분

조회 수 619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충분

언어예절

한 사물을 두고 한가지 표현만 할 수밖에 없다면 누구나 답답해할 것이다. ‘느낌’도 사람 따라 달리 표현할 듯하지만 생각처럼 다양하지는 않다. 두루 아는 한정적인 낱말로 달리 표현할 여지가 그렇게 많을 수 없는 까닭이다. 한편으로,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이라 해서 상투적이라 하지는 않는다. 상투적이라면 낱말 자체보다는 그 말이 들어가 이룬 말덩이, 곧 짜임새가 주는 버릇투를 일컫는다.

예컨대 충분하다·족하다·넉넉하다·남는다·모자란다·부족하다·아쉽다 … 같은 말을 자주 쓴다고 상투적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충분하다’는 말이 들어가 이룬 말뭉치들을 들춰보자.

“영화 잡지를 통해 보았던 이 영화 포스터는 나를 매혹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잇따른 비리 사건은 한나라당을 비롯해 현 집권세력의 도덕성을 의심케 하기에 충분하다/ 미리 분명하게 선을 긋지 않은 것은 표심을 왜곡하고 헛공약을 방조했다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해서다/ 수입 쇠고기는 여학생들에게 내재된 특유의 모성애와 가족애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동사로 끝낼 말을 명사꼴로 바꾸고 토를 붙여 ‘-기에 충분하다’란 이은말을 만들어 썼다. 강조 효과가 그럴듯한 까닭에 흔히 써 먹지만 번역투에서 굳어진 말이다.

이는 그냥 “이 영화 포스터는 단번에 나를 사로잡았다”라든지 “~ 의혹을 사고도 남는다” 정도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94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16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73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094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2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4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49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4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18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36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3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55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244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89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746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64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470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803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66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215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95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