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08

풍개

조회 수 1016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풍개

사람이름

효정 옹주가 애를 낳고 산후증으로 숨지자 중종은 부마인 조의정을 잡아들이라 했다. 옹주의 계집종 ‘풍가이’(豊加伊)를 시앗으로 삼으면서 조의정이 옹주는 종처럼, ‘풍가이’는 옹주처럼 대접했다고 한다. 옹주를 깔보고 소박받게 하였으니 ‘풍가이’를 의금부로 보내 죄를 물으라 하였다. 이 시절 대궐에서 투기가 심했다고 한다. 임금 사위는 시앗을 두지 못하였으며 어길 때는 어미와 함께 곤장을 맞기도 하였다.

‘풍가이’는 ‘풍가·풍개’(豊加·豊介)라고도 하였다. ‘풍개’는 고장말로 자두다. 자두는 ‘오얏’, 고장 따라 ‘옹아’로도 부른다. 사람이름에는 ‘갈마·감·능금·도토리·동백·딜위(찔레)·수영·잣’ 따위 말도 쓰인다. 갈매나무 열매인 ‘갈매’는 짙은 쪽빛을 띠어 검푸른 색을 ‘갈매빛’이라 하며, ‘갈마동·갈마고개·갈매못/갈마무시’처럼 땅이름에도 들어 있다.

‘수영’은 여뀟과 여러해살이풀로, ‘승아/싱아’로도 불리며 ‘수영이·수영대·수영손이’라는 이름에도 쓰였다. ‘잣’이 든 이름에 ‘잣금이·잣녜·잣달이·잣덕이·잣동이·잣산이’도 있다. 이름에 보이는 ‘늣티’는 느티나무인 듯하다.

조선의 왕족은 ‘李’(오얏 이)씨이므로, 대한제국 땐 우표를 ‘풍개’ 꽃으로 꾸몄다. 더위 먹은 입맛 돌리는 데 시큼하고 달콤한 자두, 제격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63
2138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2
2137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3
»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60
2135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2134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바람의종 2008.11.24 11229
2133 옛부터, 옛스럽다 바람의종 2008.11.24 8769
2132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2131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801
2130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45
2129 띄다, 띠다 바람의종 2008.11.25 11789
2128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29
2127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99
2126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35
2125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27
2124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51
2123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814
2122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2121 두리뭉실 바람의종 2008.11.29 10473
2120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24
2119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414
211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61
2117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