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3 05:38

국민

조회 수 4573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국민

언어예절

한 나라 사람들을 싸잡아 부를 말(호칭)이 없다. 수천만 사람을 묶어서 부를 자격이 있는 이가 누구며, 불러서 대답할 그들이 있긴 하겠는가. 백성·국본은 예스럽고, 아쉬운 대로 인민·국민·동포·겨레 같은 지칭어에다 ‘여러분!’을 달아 부를밖에.

올해 대통령의 8·15 경축사는 ‘건국 60년’만 강조한 탓에 예년 것과는 용어·주제·틀이 달라 말이 많았다. 그런 점을 뺀다면 형식 자체는 꽤 절제되고 다듬은 문장이었다. 단문 위주여서 연설하고 듣기에 부담이 적었고, 평균 어절이 아홉 안쪽으로 무척 짧았다. 단정·비유·설명·약속·의지 …들도 큰 무리 없이 엮이었다. 포괄적 긍정과 희망적 전망으로 뭉뚱그렸지만 앞뒤 60년이란 시공의 폭이 주는 성금도 좀 봤다.

국경일에 걸맞은 말을 빠뜨린 건 큰 흠이다. 국민·동포·민족·겨레에서 ‘국민’은 서른 번 가까이 썼고 다른 말은 한두번에 그쳤다. ‘국민’ 아닌 동포로, 이국에 뼈를 묻은 선열들에다 숱한 ‘재외동포’가 있고, 최근의 ‘귀화 국민’도 정서에서 그렇다. 그러니 ‘북녘 동포’와 함께 적어도 두어차례는 이들을 부르고 외쳐 말로라도 어루만져야 했다.

아직 광복·독립을 못한 이웃 겨레들도 적잖다. 식민지배를 겪은 나라로서 그들의 염원을 지원·지지함과 아울러 침략주의를 경계하는 언급이 반드시 따라야 했다. ‘세계’를 열댓 차례 썼는데, 예나 앞으로나 배달겨레의 최고 실천 이념이라 할 ‘홍익인간’을 내세움만 같지 못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63
1302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5
1301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95
1300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4
1299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7
1298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95
1297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54
»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73
1295 바람의종 2008.11.22 6114
1294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6006
1293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787
1292 왕따, 가마리 바람의종 2008.11.21 6462
1291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803
1290 방마치 바람의종 2008.11.21 6710
1289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50
1288 오랫만, 오랜만 바람의종 2008.11.20 14851
1287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26
1286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4
128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9
1284 핸드폰, 휴대전화 바람의종 2008.11.19 6936
128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81
1282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98
1281 니가, 지가 바람의종 2008.11.18 53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