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3 05:38

국민

조회 수 4541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국민

언어예절

한 나라 사람들을 싸잡아 부를 말(호칭)이 없다. 수천만 사람을 묶어서 부를 자격이 있는 이가 누구며, 불러서 대답할 그들이 있긴 하겠는가. 백성·국본은 예스럽고, 아쉬운 대로 인민·국민·동포·겨레 같은 지칭어에다 ‘여러분!’을 달아 부를밖에.

올해 대통령의 8·15 경축사는 ‘건국 60년’만 강조한 탓에 예년 것과는 용어·주제·틀이 달라 말이 많았다. 그런 점을 뺀다면 형식 자체는 꽤 절제되고 다듬은 문장이었다. 단문 위주여서 연설하고 듣기에 부담이 적었고, 평균 어절이 아홉 안쪽으로 무척 짧았다. 단정·비유·설명·약속·의지 …들도 큰 무리 없이 엮이었다. 포괄적 긍정과 희망적 전망으로 뭉뚱그렸지만 앞뒤 60년이란 시공의 폭이 주는 성금도 좀 봤다.

국경일에 걸맞은 말을 빠뜨린 건 큰 흠이다. 국민·동포·민족·겨레에서 ‘국민’은 서른 번 가까이 썼고 다른 말은 한두번에 그쳤다. ‘국민’ 아닌 동포로, 이국에 뼈를 묻은 선열들에다 숱한 ‘재외동포’가 있고, 최근의 ‘귀화 국민’도 정서에서 그렇다. 그러니 ‘북녘 동포’와 함께 적어도 두어차례는 이들을 부르고 외쳐 말로라도 어루만져야 했다.

아직 광복·독립을 못한 이웃 겨레들도 적잖다. 식민지배를 겪은 나라로서 그들의 염원을 지원·지지함과 아울러 침략주의를 경계하는 언급이 반드시 따라야 했다. ‘세계’를 열댓 차례 썼는데, 예나 앞으로나 배달겨레의 최고 실천 이념이라 할 ‘홍익인간’을 내세움만 같지 못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2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8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884
2908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02
2907 화성돈 바람의종 2012.08.30 10778
2906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4977
2905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바람의종 2012.08.23 20902
2904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18
2903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57
2902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40
2901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277
2900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62
2899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578
2898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12
2897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27
2896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826
2895 날개쭉지 바람의종 2012.08.14 10548
2894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18
2893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40
2892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26
2891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8976
2890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88
2889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3903
2888 바람의종 2012.07.27 9233
2887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4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