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3 05:38

국민

조회 수 4547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국민

언어예절

한 나라 사람들을 싸잡아 부를 말(호칭)이 없다. 수천만 사람을 묶어서 부를 자격이 있는 이가 누구며, 불러서 대답할 그들이 있긴 하겠는가. 백성·국본은 예스럽고, 아쉬운 대로 인민·국민·동포·겨레 같은 지칭어에다 ‘여러분!’을 달아 부를밖에.

올해 대통령의 8·15 경축사는 ‘건국 60년’만 강조한 탓에 예년 것과는 용어·주제·틀이 달라 말이 많았다. 그런 점을 뺀다면 형식 자체는 꽤 절제되고 다듬은 문장이었다. 단문 위주여서 연설하고 듣기에 부담이 적었고, 평균 어절이 아홉 안쪽으로 무척 짧았다. 단정·비유·설명·약속·의지 …들도 큰 무리 없이 엮이었다. 포괄적 긍정과 희망적 전망으로 뭉뚱그렸지만 앞뒤 60년이란 시공의 폭이 주는 성금도 좀 봤다.

국경일에 걸맞은 말을 빠뜨린 건 큰 흠이다. 국민·동포·민족·겨레에서 ‘국민’은 서른 번 가까이 썼고 다른 말은 한두번에 그쳤다. ‘국민’ 아닌 동포로, 이국에 뼈를 묻은 선열들에다 숱한 ‘재외동포’가 있고, 최근의 ‘귀화 국민’도 정서에서 그렇다. 그러니 ‘북녘 동포’와 함께 적어도 두어차례는 이들을 부르고 외쳐 말로라도 어루만져야 했다.

아직 광복·독립을 못한 이웃 겨레들도 적잖다. 식민지배를 겪은 나라로서 그들의 염원을 지원·지지함과 아울러 침략주의를 경계하는 언급이 반드시 따라야 했다. ‘세계’를 열댓 차례 썼는데, 예나 앞으로나 배달겨레의 최고 실천 이념이라 할 ‘홍익인간’을 내세움만 같지 못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10
3018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95
3017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891
3016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888
3015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882
3014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81
3013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880
3012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2880
3011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51
3010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49
3009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43
3008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21
3007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18
3006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14
3005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807
3004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04
3003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03
3002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82
3001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780
3000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76
2999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66
2998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62
299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