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0 03:05

괴기라미 떡이라미

조회 수 662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괴기라미 떡이라미

고장말

표준어 ‘-이랑/랑’과 대응하는 제주와 평안말이 ‘-이영/영’, ‘-이당/이땅’이라면, 함경말은 ‘-이라미/라미’고, 전라·충청말은 ‘-이여/여’다. “나라미 같이 가자.”(함경), “괴기라미 떡이라미 많이 먹습둥.”(함경) 함경말에서는 ‘-이라메/라메’도 쓴다. “큰집 성이라메 함께 갔습둥.” “나라메 같이 감세.” 같은 함경도에서도 함북 지역에서는 ‘-이라미/라미, -이라메/라메’와 함께 ‘-이궁/궁’이 쓰인다는 점이 함남 지역과 다르다. “이 집 아배궁 어매궁 어디 갓슴메?”

‘-이랑/랑’에 해당하는 전라·충청말은 ‘-이여/여’다. ‘-이랑’이 행동을 함께함(나랑 같이 가자), 견줌(형은 나랑 다른다), 사물을 잇기(빵이랑 과자랑 먹다) 구실을 하는데, ‘-이여/여’는 사물을 이어주는 기능만 한다는 점에서 표준어의 ‘-이랑/랑’과는 다르다. 함북말의 ‘-이궁/궁’도 그렇다. “광이여 방이여 어디 서렁이여 뭣이여 다 잡아 뒤어도 …”(<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형이 워디를 나갔다가서 들어 오믄 돈이여 쌀이여 뭐 연일 이렇게 많이 가져 온단 말여.”(위 책 충북편)

‘-이여/여’는 ‘-이야/야’로도 쓰인다. “대처나 인자 음식이야 술이야 푸짐하게 갖다 놓으면서 …”(위 책 전남편) “그 콩재기에다 떡이야 꽃갬이야 뱀(밤)이야 다 받아 여코(넣고) …”(위 책 전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1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03
2930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363
2929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597
2928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5
2927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2926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277
2925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823
2924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476
292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4
2922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4
2921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08
2920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28
291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31
2918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19
2917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4
2916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02
2915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99
2914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08
2913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616
2912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66
2911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49
2910 볼장 다보다 바람의종 2008.01.13 19332
2909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