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0 03:05

괴기라미 떡이라미

조회 수 663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괴기라미 떡이라미

고장말

표준어 ‘-이랑/랑’과 대응하는 제주와 평안말이 ‘-이영/영’, ‘-이당/이땅’이라면, 함경말은 ‘-이라미/라미’고, 전라·충청말은 ‘-이여/여’다. “나라미 같이 가자.”(함경), “괴기라미 떡이라미 많이 먹습둥.”(함경) 함경말에서는 ‘-이라메/라메’도 쓴다. “큰집 성이라메 함께 갔습둥.” “나라메 같이 감세.” 같은 함경도에서도 함북 지역에서는 ‘-이라미/라미, -이라메/라메’와 함께 ‘-이궁/궁’이 쓰인다는 점이 함남 지역과 다르다. “이 집 아배궁 어매궁 어디 갓슴메?”

‘-이랑/랑’에 해당하는 전라·충청말은 ‘-이여/여’다. ‘-이랑’이 행동을 함께함(나랑 같이 가자), 견줌(형은 나랑 다른다), 사물을 잇기(빵이랑 과자랑 먹다) 구실을 하는데, ‘-이여/여’는 사물을 이어주는 기능만 한다는 점에서 표준어의 ‘-이랑/랑’과는 다르다. 함북말의 ‘-이궁/궁’도 그렇다. “광이여 방이여 어디 서렁이여 뭣이여 다 잡아 뒤어도 …”(<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형이 워디를 나갔다가서 들어 오믄 돈이여 쌀이여 뭐 연일 이렇게 많이 가져 온단 말여.”(위 책 충북편)

‘-이여/여’는 ‘-이야/야’로도 쓰인다. “대처나 인자 음식이야 술이야 푸짐하게 갖다 놓으면서 …”(위 책 전남편) “그 콩재기에다 떡이야 꽃갬이야 뱀(밤)이야 다 받아 여코(넣고) …”(위 책 전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840
1302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1301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68
1300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3
1299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2
1298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58
1297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49
1296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63
1295 바람의종 2008.11.22 6114
1294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981
1293 평가하다, 때문에 바람의종 2008.11.21 7757
1292 왕따, 가마리 바람의종 2008.11.21 6446
1291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781
1290 방마치 바람의종 2008.11.21 6707
1289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43
1288 오랫만, 오랜만 바람의종 2008.11.20 14845
1287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525
»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4
128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7
1284 핸드폰, 휴대전화 바람의종 2008.11.19 6880
128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69
1282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97
1281 니가, 지가 바람의종 2008.11.18 53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