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8 01:47

빵, 카스텔라

조회 수 621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끝없이 오르던 기름값이 조금 내렸다는 소식이 있었고, 올림픽 선수단의 승전보도 반갑다. 은행 금리가 너무 낮아 돈을 은행에 맡겨봐야 손해라는 기사가 등장하여 우울하게 하기도 한다. ‘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고 하나, 지금은 빵이 걱정되는 때다.

‘빵’은 포르투갈어 ‘팡’이 바로 들어왔거나, 일본어로 들어가서 ‘반’(パン)이 된 것이 다시 변형돼 굳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은 빵의 종류가 많아지고 이름도 다양해서 외우고 익히는 데도 꽤 시간과 정성이 드는데, 고급이라면 ‘카스텔라’ 정도를 떠올리던 때가 있었다. 흔히 ‘카스테라’라고 말하고 적는 ‘카스텔라’는 ‘빵’의 기원을 제공한 포르투갈어의 ‘카스텔라’(castella)가 어원으로 여겨지는데, 이것이 바로 들어왔거나 혹은 일본어 ‘가스테라’(カステラ)를 거쳐 들어온 듯하다.

과자를 뜻하는 서양말로 ‘쿠키’(cookie)나 ‘크래커’(cracker), ‘비스킷’(biscuit)이 있는데, ‘비스킷’은 근래 들어 빵의 일종을 뜻하기도 한다. 원래는 영국 영어에서처럼 과자만을 일컬었는데, 한 서양음식 체인점에서 북미식 빵의 하나로 비스킷을 팔기 시작하면서 이런 뜻이 생긴 것 같다. 이외에도 머핀(muffin), 커스터드(custard), 크루아상(croissant), 바게트(baguette), 파이(pie) 따위가 빵의 종류를 일컫는, 근래에 새로이 퍼진 말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78
1720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39
1719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785
1718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170
1717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25
1716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35
»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14
1714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702
1713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23
1712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67
1711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1982
1710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9
1709 뽀개기 바람의종 2010.05.09 8465
1708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15
1707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44
1706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38
1705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39
1704 뿐만 아니라, 때문에 바람의종 2009.10.27 10477
1703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462
1702 삐라 바람의종 2008.02.15 5326
1701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10
1700 삐리라 바람의종 2009.07.16 8045
1699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