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6 03:29

오마이

조회 수 577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마이

사람이름

남이는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세조 때 병조판서가 되었다. 예종 즉위년(1468년) 시월, 남이는 역적으로 몰렸다. 장용대의 ‘진쟈근디·맹불생·이산’ 등이 남이와 한 무리가 되어 역적모의를 했다고 같은 부대의 ‘오마수’가 발고하였다. 맹불생을 잡아 묻자 자못 불지 않아 형을 가하니 불므로 목을 베었다. 진쟈근디 등 스물 남짓을 국문하였으나 오직 ‘보리·이산충’만 자복하였다.

밑말 ‘오마’가 든 이름에 ‘오마/오마이·오마동이·오마대·오마디·오마사·오마쇠’가 있고, 비슷한 이름에 ‘올마·올마대·올마디·올마지’도 있는데, ‘오마·올마’가 무슨 뜻인지 알려지지 않았다.

이름접미사에 ‘-수’가 있다. ‘걸수·검수·난수·똥수·만수·말수·박수·손수·옥수’와 같은 사내이름에 쓰인다. 이름접미사 ‘-수’가 요즘에도 사내이름에 널리 쓰이는 것은 이러한 내림으로 보인다.

비슷한 이름접미사에 ‘-시’와 ‘-실’도 있다. ‘-시’는 주로 계집이름에 쓰이며, ‘막시·백시·복시·옥시·은시·학시’가 보인다. ‘-실’이 든 이름으로는 ‘검실이·넙실이·막실이·망실이·멍실이·몽실이·뭉실이·방실이·북실이’가 보인다.

훈구 세력에게 위협이 되던 남이·강순 등이 제거되었다. 예종은 신숙주·한명회를 비롯한 서른여덟 명에게 ‘익대공신’(翊戴功臣), 곧 ‘정성스럽게 모신 공신’이라는 칭호를 붙여 주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61
2930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46
2929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9
2928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73
»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76
2926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84
2925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91
292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94
2923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94
2922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801
2921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01
2920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04
2919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05
2918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805
2917 바람의종 2008.08.08 5809
2916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825
2915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832
2914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36
2913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42
2912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48
2911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64
2910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66
2909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