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6 03:29

오마이

조회 수 576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마이

사람이름

남이는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세조 때 병조판서가 되었다. 예종 즉위년(1468년) 시월, 남이는 역적으로 몰렸다. 장용대의 ‘진쟈근디·맹불생·이산’ 등이 남이와 한 무리가 되어 역적모의를 했다고 같은 부대의 ‘오마수’가 발고하였다. 맹불생을 잡아 묻자 자못 불지 않아 형을 가하니 불므로 목을 베었다. 진쟈근디 등 스물 남짓을 국문하였으나 오직 ‘보리·이산충’만 자복하였다.

밑말 ‘오마’가 든 이름에 ‘오마/오마이·오마동이·오마대·오마디·오마사·오마쇠’가 있고, 비슷한 이름에 ‘올마·올마대·올마디·올마지’도 있는데, ‘오마·올마’가 무슨 뜻인지 알려지지 않았다.

이름접미사에 ‘-수’가 있다. ‘걸수·검수·난수·똥수·만수·말수·박수·손수·옥수’와 같은 사내이름에 쓰인다. 이름접미사 ‘-수’가 요즘에도 사내이름에 널리 쓰이는 것은 이러한 내림으로 보인다.

비슷한 이름접미사에 ‘-시’와 ‘-실’도 있다. ‘-시’는 주로 계집이름에 쓰이며, ‘막시·백시·복시·옥시·은시·학시’가 보인다. ‘-실’이 든 이름으로는 ‘검실이·넙실이·막실이·망실이·멍실이·몽실이·뭉실이·방실이·북실이’가 보인다.

훈구 세력에게 위협이 되던 남이·강순 등이 제거되었다. 예종은 신숙주·한명회를 비롯한 서른여덟 명에게 ‘익대공신’(翊戴功臣), 곧 ‘정성스럽게 모신 공신’이라는 칭호를 붙여 주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07
1280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48
1279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08.11.18 7789
1278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07
1277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36
1276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31
1275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30
»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62
1273 벗어지다, 벗겨지다 바람의종 2008.11.15 8065
1272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202
1271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597
1270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53
1269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31
1268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43
1267 'ㅣ'모음 역행동화 바람의종 2008.11.14 6927
1266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3
1265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47
1264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791
1263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32
1262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57
1261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7981
1260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53
1259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5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