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4:57

너랑 나랑

조회 수 768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랑 나랑

고장말

말을 잇거나 열거하는 데 쓰이는 표준어 ‘-이랑’은 어느 고장이나 거의 비슷한 형태로 사용되지만, 제주말과 평안말에서는 좀 달리 나타난다. 제주에서는 ‘-이영’이 쓰인다. “아침이영 정심밥이영 가져오게 뒈며는 …” “붉은 험벅이영 노랑 험벅이영 푸린 험벅이영 오섹 가지로 ….”(<한국구비문학대계> 북제주군 편) ‘-이랑’과 마찬가지로 자음 뒤엔 ‘-이영’이, 모음 뒤엔 ‘-영’이 쓰인다. “산에 간 남을 비여단 배를 짓언 씨어멍이영 메누리영 씨아방이영 이젠 배를 탄 나사난(나서니) ….”(위 책)

‘-이영’은 ‘-이랑’과는 달리 표준어의 ‘-도’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난 나비영 잡지 그렵수다.”(나는 나비도 잡고 싶습니다) “그 사름이영 카키옌 햄수과?”(그 사람도 가겠다고 합니까?) 이는 제주말의 ‘-광’이 ‘-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그 예자 양지광(얼굴도) 참 곱다.” “그 사름 입은 것광 불쌍하여라.”

평안말에서는 ‘-이랑’은 ‘-이당/이땅’과 대응된다. “아덜이땅 딸이당 흑게(참) 잘살디 않습네?” 모음 뒤엔 ‘-당/땅’이 쓰인다. “왜디땅 복새땅 참 맛있갔습둥.”

표준어의 ‘-이랑’이 ‘-이다’의 활용형 ‘-이라’에 ‘ㅇ’이 덧붙은 형태라면, 제주말의 ‘-이영’은 ‘-이여’에 ‘ㅇ’이 덧붙었다. 평안말 ‘-이당/이땅’은 표준어의 ‘-이다’에 ‘ㅇ’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37
1280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800
1279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806
1278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807
1277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813
1276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823
1275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24
1274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28
1273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831
1272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832
1271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832
1270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835
1269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835
1268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837
1267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38
1266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42
1265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43
1264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843
1263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47
1262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53
1261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855
126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862
1259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