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4:57

너랑 나랑

조회 수 766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랑 나랑

고장말

말을 잇거나 열거하는 데 쓰이는 표준어 ‘-이랑’은 어느 고장이나 거의 비슷한 형태로 사용되지만, 제주말과 평안말에서는 좀 달리 나타난다. 제주에서는 ‘-이영’이 쓰인다. “아침이영 정심밥이영 가져오게 뒈며는 …” “붉은 험벅이영 노랑 험벅이영 푸린 험벅이영 오섹 가지로 ….”(<한국구비문학대계> 북제주군 편) ‘-이랑’과 마찬가지로 자음 뒤엔 ‘-이영’이, 모음 뒤엔 ‘-영’이 쓰인다. “산에 간 남을 비여단 배를 짓언 씨어멍이영 메누리영 씨아방이영 이젠 배를 탄 나사난(나서니) ….”(위 책)

‘-이영’은 ‘-이랑’과는 달리 표준어의 ‘-도’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난 나비영 잡지 그렵수다.”(나는 나비도 잡고 싶습니다) “그 사름이영 카키옌 햄수과?”(그 사람도 가겠다고 합니까?) 이는 제주말의 ‘-광’이 ‘-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그 예자 양지광(얼굴도) 참 곱다.” “그 사름 입은 것광 불쌍하여라.”

평안말에서는 ‘-이랑’은 ‘-이당/이땅’과 대응된다. “아덜이땅 딸이당 흑게(참) 잘살디 않습네?” 모음 뒤엔 ‘-당/땅’이 쓰인다. “왜디땅 복새땅 참 맛있갔습둥.”

표준어의 ‘-이랑’이 ‘-이다’의 활용형 ‘-이라’에 ‘ㅇ’이 덧붙은 형태라면, 제주말의 ‘-이영’은 ‘-이여’에 ‘ㅇ’이 덧붙었다. 평안말 ‘-이당/이땅’은 표준어의 ‘-이다’에 ‘ㅇ’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45
2182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0
2181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680
2180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2
2179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87
2178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0
2177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692
2176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692
2175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697
2174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01
2173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3
2172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05
2171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07
2170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708
2169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08
2168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15
2167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715
2166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15
2165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23
2164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4
2163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726
216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7
2161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