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4:57

너랑 나랑

조회 수 763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랑 나랑

고장말

말을 잇거나 열거하는 데 쓰이는 표준어 ‘-이랑’은 어느 고장이나 거의 비슷한 형태로 사용되지만, 제주말과 평안말에서는 좀 달리 나타난다. 제주에서는 ‘-이영’이 쓰인다. “아침이영 정심밥이영 가져오게 뒈며는 …” “붉은 험벅이영 노랑 험벅이영 푸린 험벅이영 오섹 가지로 ….”(<한국구비문학대계> 북제주군 편) ‘-이랑’과 마찬가지로 자음 뒤엔 ‘-이영’이, 모음 뒤엔 ‘-영’이 쓰인다. “산에 간 남을 비여단 배를 짓언 씨어멍이영 메누리영 씨아방이영 이젠 배를 탄 나사난(나서니) ….”(위 책)

‘-이영’은 ‘-이랑’과는 달리 표준어의 ‘-도’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난 나비영 잡지 그렵수다.”(나는 나비도 잡고 싶습니다) “그 사름이영 카키옌 햄수과?”(그 사람도 가겠다고 합니까?) 이는 제주말의 ‘-광’이 ‘-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그 예자 양지광(얼굴도) 참 곱다.” “그 사름 입은 것광 불쌍하여라.”

평안말에서는 ‘-이랑’은 ‘-이당/이땅’과 대응된다. “아덜이땅 딸이당 흑게(참) 잘살디 않습네?” 모음 뒤엔 ‘-당/땅’이 쓰인다. “왜디땅 복새땅 참 맛있갔습둥.”

표준어의 ‘-이랑’이 ‘-이다’의 활용형 ‘-이라’에 ‘ㅇ’이 덧붙은 형태라면, 제주말의 ‘-이영’은 ‘-이여’에 ‘ㅇ’이 덧붙었다. 평안말 ‘-이당/이땅’은 표준어의 ‘-이다’에 ‘ㅇ’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1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57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0608
2926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683
2925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690
2924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690
2923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696
2922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703
2921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705
2920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05
2919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08
2918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09
291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13
2916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33
2915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36
2914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36
2913 바람의종 2008.08.08 5738
2912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41
2911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743
2910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56
2909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761
2908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764
2907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70
2906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771
2905 덕분 바람의종 2009.07.13 57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