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01 07:28

조회 수 722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불의 근원은 금정산에 들어가 한 쪽이 차돌이고 한 쪽이 무쇠인 돌로 툭툭 치면 불이 날 것입니다. 또 물의 근원은 소하산에 들어가서 샘물이 흐르는 것을 보면 알게 될 것입니다.”

손진태의 <조선 신가유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불과 물의 근원을 몰라 생식을 하던 미륵이 생쥐를 붙잡아다 볼기를 치며 밝혀냈다는 사연이다. 그러니까 물과 불의 근원을 잘 알 정도로 쥐가 슬기롭다는 얘기다. 열두 짐승(십이지지) 가운데 맨앞에 나오는 게 쥐(=子)다. 사람이 땅 위에 살기 이전에도 쥐는 있었다.

쥐를 ‘주이’에서 왔다고도 한다. ‘주이>쥐’가 된다. 주이의 기원형은 폐음절형인 ‘줃’에 접미사 ‘-이’가 붙은 말로 본 것이다.(서정범) ‘줃이-주디-주리-주이-쥐’와 같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라는 얘기다.

옛말로 거슬러 올라가면 마찰음과 파열음이 아울러 나는 파찰음소가 쓰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수이-주이-쥐’와 같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다시 ‘수이’는 사이를 뜻하는 슷(間<훈몽자회)에 접미사 -이가 붙어 ‘슷이-스시-수시-수이’로 되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사람과 신 사이를 통하는 존재로, 아니면 짐승과 날짐승(새)의 중간 존재로 보려는 생각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새도 쥐도 아닌 게 박쥐다. 한편에선 수많은 쥐가 실험용으로 사라져 간다. 쥐를 보면 자연이 절로 두려워진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28
2952 라이방에 봉고 바람의종 2008.09.30 7382
2951 사슴 바람의종 2008.10.01 7129
2950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88
2949 내레 바람의종 2008.10.07 6218
2948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88
2947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71
2946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26
2945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38
2944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2943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74
2942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50
2941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7997
2940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1
2939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08
2938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41
2937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2936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46
2935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67
2934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60
2933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63
2932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88
» 바람의종 2008.11.01 7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