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01 07:28

조회 수 726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불의 근원은 금정산에 들어가 한 쪽이 차돌이고 한 쪽이 무쇠인 돌로 툭툭 치면 불이 날 것입니다. 또 물의 근원은 소하산에 들어가서 샘물이 흐르는 것을 보면 알게 될 것입니다.”

손진태의 <조선 신가유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불과 물의 근원을 몰라 생식을 하던 미륵이 생쥐를 붙잡아다 볼기를 치며 밝혀냈다는 사연이다. 그러니까 물과 불의 근원을 잘 알 정도로 쥐가 슬기롭다는 얘기다. 열두 짐승(십이지지) 가운데 맨앞에 나오는 게 쥐(=子)다. 사람이 땅 위에 살기 이전에도 쥐는 있었다.

쥐를 ‘주이’에서 왔다고도 한다. ‘주이>쥐’가 된다. 주이의 기원형은 폐음절형인 ‘줃’에 접미사 ‘-이’가 붙은 말로 본 것이다.(서정범) ‘줃이-주디-주리-주이-쥐’와 같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라는 얘기다.

옛말로 거슬러 올라가면 마찰음과 파열음이 아울러 나는 파찰음소가 쓰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수이-주이-쥐’와 같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다시 ‘수이’는 사이를 뜻하는 슷(間<훈몽자회)에 접미사 -이가 붙어 ‘슷이-스시-수시-수이’로 되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사람과 신 사이를 통하는 존재로, 아니면 짐승과 날짐승(새)의 중간 존재로 보려는 생각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새도 쥐도 아닌 게 박쥐다. 한편에선 수많은 쥐가 실험용으로 사라져 간다. 쥐를 보면 자연이 절로 두려워진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40
1258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6
1257 발자국 바람의종 2008.11.11 4552
1256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97
1255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42
1254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1253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439
1252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87
1251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58
1250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205
1249 떼기, 뙈기 바람의종 2008.11.02 7005
1248 당기다, 댕기다, 땅기다 바람의종 2008.11.02 6443
1247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539
1246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99
1245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18
1244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43
1243 나아질른지 바람의종 2008.11.01 6018
» 바람의종 2008.11.01 7267
1241 결재, 결제 바람의종 2008.10.31 10941
1240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69
1239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74
1238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4
1237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5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