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01 07:28

조회 수 727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불의 근원은 금정산에 들어가 한 쪽이 차돌이고 한 쪽이 무쇠인 돌로 툭툭 치면 불이 날 것입니다. 또 물의 근원은 소하산에 들어가서 샘물이 흐르는 것을 보면 알게 될 것입니다.”

손진태의 <조선 신가유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불과 물의 근원을 몰라 생식을 하던 미륵이 생쥐를 붙잡아다 볼기를 치며 밝혀냈다는 사연이다. 그러니까 물과 불의 근원을 잘 알 정도로 쥐가 슬기롭다는 얘기다. 열두 짐승(십이지지) 가운데 맨앞에 나오는 게 쥐(=子)다. 사람이 땅 위에 살기 이전에도 쥐는 있었다.

쥐를 ‘주이’에서 왔다고도 한다. ‘주이>쥐’가 된다. 주이의 기원형은 폐음절형인 ‘줃’에 접미사 ‘-이’가 붙은 말로 본 것이다.(서정범) ‘줃이-주디-주리-주이-쥐’와 같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라는 얘기다.

옛말로 거슬러 올라가면 마찰음과 파열음이 아울러 나는 파찰음소가 쓰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수이-주이-쥐’와 같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다시 ‘수이’는 사이를 뜻하는 슷(間<훈몽자회)에 접미사 -이가 붙어 ‘슷이-스시-수시-수이’로 되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사람과 신 사이를 통하는 존재로, 아니면 짐승과 날짐승(새)의 중간 존재로 보려는 생각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새도 쥐도 아닌 게 박쥐다. 한편에선 수많은 쥐가 실험용으로 사라져 간다. 쥐를 보면 자연이 절로 두려워진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06
2930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85
2929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394
2928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61
2927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93
2926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725
2925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80
2924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26
2923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727
2922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46
2921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10
2920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74
2919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686
2918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4
2917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61
2916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948
2915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394
2914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21
2913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28
2912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473
2911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6991
291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48
2909 교환 / 교체 바람의종 2010.10.04 131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