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01 07:28

조회 수 723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짐승이름

“불의 근원은 금정산에 들어가 한 쪽이 차돌이고 한 쪽이 무쇠인 돌로 툭툭 치면 불이 날 것입니다. 또 물의 근원은 소하산에 들어가서 샘물이 흐르는 것을 보면 알게 될 것입니다.”

손진태의 <조선 신가유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불과 물의 근원을 몰라 생식을 하던 미륵이 생쥐를 붙잡아다 볼기를 치며 밝혀냈다는 사연이다. 그러니까 물과 불의 근원을 잘 알 정도로 쥐가 슬기롭다는 얘기다. 열두 짐승(십이지지) 가운데 맨앞에 나오는 게 쥐(=子)다. 사람이 땅 위에 살기 이전에도 쥐는 있었다.

쥐를 ‘주이’에서 왔다고도 한다. ‘주이>쥐’가 된다. 주이의 기원형은 폐음절형인 ‘줃’에 접미사 ‘-이’가 붙은 말로 본 것이다.(서정범) ‘줃이-주디-주리-주이-쥐’와 같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라는 얘기다.

옛말로 거슬러 올라가면 마찰음과 파열음이 아울러 나는 파찰음소가 쓰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수이-주이-쥐’와 같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다시 ‘수이’는 사이를 뜻하는 슷(間<훈몽자회)에 접미사 -이가 붙어 ‘슷이-스시-수시-수이’로 되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 사람과 신 사이를 통하는 존재로, 아니면 짐승과 날짐승(새)의 중간 존재로 보려는 생각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새도 쥐도 아닌 게 박쥐다. 한편에선 수많은 쥐가 실험용으로 사라져 간다. 쥐를 보면 자연이 절로 두려워진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12
2930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44
2929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434
2928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24
2927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08
2926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180
2925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686
2924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63
292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2987
2922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42
2921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53
2920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832
291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425
2918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098
2917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392
2916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8886
2915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35
2914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399
2913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545
2912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62
2911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453
2910 볼장 다보다 바람의종 2008.01.13 19242
2909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