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9 03:33

나어 집!

조회 수 616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어 집!

고장말

‘나어 집’에서 ‘-어’는 표준어의 ‘-의’와 대응한다. ‘-어’는 주로 강원 영동에서 쓰는 고장말이다. “남어 쇠르 휘벼다 저 뒷방에다 갖다 매놓고서는 멕여 키우드래여.”(<한국구비문학대계> 양양군편) “저눔어 새끼 오지 않는 줄 알았는데 또 왔단 말이래.”(위 책) 경상도에도 이와 비슷한 말이 쓰인다. “판서어 집에는 아덜도 딸도 읎어.”(위 책 상주군편) 이는 경상도 사람들이 ‘으’와 ‘어’ 소리를 구분하기 어려워 그 중간 소리를 내면서 비롯된 것이다. 그래서 강원도와 경상도말의 ‘-어’가 서로 같은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

‘의’를 제대로 소리 내는 것은 수월찮다. ‘ㅡ’를 길게, 뒤 ‘ㅣ’를 아주 짧게 소리 내야 한다. 그래선지 ‘-의’는 지역 따라 ‘으·에·이’ 등으로 소리가 난다. 특히 ‘-의’는 입술소리인 ‘ㅁ·ㅂ·ㅍ·ㅃ’ 다음에 ‘-우’로 나타난다.

“쯔쯔쯔 … 남우 집 자식 데리다 놓고 잘하나 못하나 애비를 나무라야지 우짜겄노?”(<토지> 박경리)

강원 영서, 충청, 경기 등지에서는 주로 ‘-의’가 ‘-에’로, 그 밖에서는 ‘-으’나 ‘-에’로 소리 난다. 그런데도 종종 ‘-으’는 드라마·영화 들에서 전형적인 전라도말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돌아보도 않능 거이 다 머이여어? 아 초례청으서 그렇게 사모 뿔따구를 기양 모래밭으 무시 뽑디끼 쑥, 뽑아부러 갖꼬 ….”(<혼불> 최명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49
2952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492
2951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493
2950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08
2949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11
2948 님, 임 바람의종 2008.10.22 5515
2947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22
2946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50
2945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559
2944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585
2943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0
2942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09
2941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12
2940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25
2939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631
2938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40
2937 반딧불이 바람의종 2008.09.07 5651
2936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1.12 5653
2935 더 이상 바람의종 2008.10.26 5670
2934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79
2933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681
2932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682
2931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