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5 06:16

돌쇠

조회 수 598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쇠

사람이름

명종 3년(1548년), 평양 사는 이인필의 집 암소가 송아지를 낳았는데 뒷다리 밑은 흰색, 앞다리 위 등뼈 사이로 발 하나가 거꾸로 나왔다. 상원군 사는 ‘돌쇠’(突衰)네 집에서는 검은 암소가 낳은 송아지가 머리 하나에 눈이 둘, 귀가 셋, 허리 위로는 소 모양이고, 허리 밑은 소 두 마리의 모양으로 발이 여덟, 꼬리 둘에, 털이 없는 벌거숭이였다.

돌쇠는 石乙金(석을금)/乭金으로 사뭇 적는데, 위 기록에서는 특이하게 소리 나는 대로도 적었다. ‘돌’이 든 이름은 참으로 많다. 돌개바람·돌개구멍의 ‘돌개/돌가’, 돌기둥이란 뜻의 ‘돌기디’가 있고 ‘돌덩이·돌덕이’도 보인다. 이름에 쓰인 ‘돌망이·돌명이·돌뭉이·돌믜’는 돌멩이의 아재비쯤 된다. ‘돌작’은 돌멩이의 고장말이고, ‘돌무적’은 돌무더기다. ‘돌타내’라는 이름의 ‘타내’도 널리 쓰였다. 황해도 말에서 ‘타내’는 ‘귀걸이’다. 몽골말 ‘타나’는 ‘자개·진주모’다. 고려 때 원나라 사신에 ‘타나’(塔納=탑납)가 있으며, ‘타나·타내’는 서로 관련된 이름인 듯하다. ‘돌도리·돌두리·돌모치·돌모티·돌무태’는 무슨 말일까? 경상도말로 모퉁이가 ‘모티’이므로 ‘돌모티’는 ‘돌 모퉁이’인 듯도 하다.

‘의리의 사나이 돌쇠’라는 영화를 비롯해 돌쇠는 우직하고 의리 있는 사내의 보통명사로 쓰이곤 한다. 눈앞 잇속을 챙기느라 의리마저 저버리기 일쑤인 사회에서 ‘돌쇠 정신’이 아쉽다 할까?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6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86
1236 돋우다와 돋구다 바람의종 2010.03.22 13788
1235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248
1234 해프닝 바람의종 2010.03.22 10828
1233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794
1232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558
1231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193
1230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557
1229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209
1228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78
1227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56
1226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55
122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33
1224 쟁이와 장이 바람의종 2010.03.24 16327
1223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263
1222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598
1221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18
1220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699
1219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224
1218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713
1217 조그만한, 자그만한 바람의종 2010.03.26 10917
1216 내려쬐다, 내리쬐다 바람의종 2010.03.26 10686
1215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80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