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27

니캉 내캉!

조회 수 812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니캉 내캉!

고장말

‘-캉’은 경상도 사람임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말씨의 하나로, 표준어 ‘-와/과’와 대응되는 말이다. “니캉 내캉 이런 발버둥을 치고 있는 꼴이 ….”(<홍어> 김주영) “이모캉 형수 아이들은 잘 있십니까.”(<토지> 박경리) “어제 누캉 같이 갔띠이노?”(<경북동남부방언사전> 정석호) ‘-캉’의 또다른 형태는 ‘-카’이다. “야 이늠아, 니카 나와 강원도 총석정으로 빨리 가자.”(<한국국비문학대계> 대구시편) “내카 사지 누카 살아?”(위 책 예천군편)

‘-카/캉’이 ‘-와/과’에 대응하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씨라고 한다면, ‘-광’은 제주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씨다. “성광 아시광 꼭 닮았수다.” “당신 우리광 무슨 원수 이수꽈?” “하늘광 따흘 래라, 몬첨.”(하늘과 땅을 보라, 먼저)(<한국구비문학대계> 남제주군편)

‘-카/캉’이나 ‘-광’은 자음·모음 뒤에서 두루 쓰인다는 점이 ‘-와/과’와 다르다.(성광, 아시광, 아들캉, 이모캉) 또 ‘-카/캉/광’은 서로 연결되는 두 단어에 모두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표준어 ‘-와/과’와 그 차이를 드러낸다. 가령, 표준어에서 ‘니과 내과 같이 살어’ 하는 것은 어색하지만, 경상·제주말에서는 ‘니캉 내캉/니광 내광 같이 살어’와 같이 말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카’는 ‘-과’가 ‘과>콰>카’와 같이 변하여 생겨난 말이며, ‘-광’은 ‘-과’에, ‘-캉’은 ‘-카’에 ‘ㅇ’이 덧붙어서 쓰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51
1500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98
1499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95
1498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89
1497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185
1496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84
1495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82
1494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82
1493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179
1492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79
1491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77
1490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76
1489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3
148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72
1487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171
1486 노파심 바람의종 2007.06.12 8169
1485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8
1484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66
1483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6
1482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65
1481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64
1480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0
1479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