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4 00:27

니캉 내캉!

조회 수 811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니캉 내캉!

고장말

‘-캉’은 경상도 사람임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말씨의 하나로, 표준어 ‘-와/과’와 대응되는 말이다. “니캉 내캉 이런 발버둥을 치고 있는 꼴이 ….”(<홍어> 김주영) “이모캉 형수 아이들은 잘 있십니까.”(<토지> 박경리) “어제 누캉 같이 갔띠이노?”(<경북동남부방언사전> 정석호) ‘-캉’의 또다른 형태는 ‘-카’이다. “야 이늠아, 니카 나와 강원도 총석정으로 빨리 가자.”(<한국국비문학대계> 대구시편) “내카 사지 누카 살아?”(위 책 예천군편)

‘-카/캉’이 ‘-와/과’에 대응하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씨라고 한다면, ‘-광’은 제주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씨다. “성광 아시광 꼭 닮았수다.” “당신 우리광 무슨 원수 이수꽈?” “하늘광 따흘 래라, 몬첨.”(하늘과 땅을 보라, 먼저)(<한국구비문학대계> 남제주군편)

‘-카/캉’이나 ‘-광’은 자음·모음 뒤에서 두루 쓰인다는 점이 ‘-와/과’와 다르다.(성광, 아시광, 아들캉, 이모캉) 또 ‘-카/캉/광’은 서로 연결되는 두 단어에 모두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표준어 ‘-와/과’와 그 차이를 드러낸다. 가령, 표준어에서 ‘니과 내과 같이 살어’ 하는 것은 어색하지만, 경상·제주말에서는 ‘니캉 내캉/니광 내광 같이 살어’와 같이 말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카’는 ‘-과’가 ‘과>콰>카’와 같이 변하여 생겨난 말이며, ‘-광’은 ‘-과’에, ‘-캉’은 ‘-카’에 ‘ㅇ’이 덧붙어서 쓰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53
510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0
509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0
508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190
507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87
506 바람의종 2008.11.01 7225
50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88
504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68
503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69
502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82
501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50
500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499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41
»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14
497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2
496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001
495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60
494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81
493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492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38
491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26
490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86
489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