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7 18:22

강쇠

조회 수 790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쇠

사람이름

‘가루지기타령’은 옹녀와 변강쇠의 활달한 성 행각을 다룬 판소리로, 영화와 만화의 밑감이 되기도 하였다. 몽골 사람이름에 ‘간토모르’가 있다. 말 그대로 강철, 바로 강쇠다. 몽골말 ‘간’과 우리말 ‘강’이 서로 만나고 있다. ‘강’이 든 이름에 강이·강가히·강고리·강돌이·강마·강만이·강비·강상이·강치가 있다. 강골(强骨↔약골)은 단단하고 굽히지 아니하는 기질을 이르며, 강돌은 강이나 냇가에 있는 호박돌이다. ‘강생이’(강상이)는 고장말로 강아지고, 강치는 몸집이 물개와 비슷한 바다 동물로, 지느러미 모양의 다리를 갖고 있다.

쇠를 만들 때 쇳돌(철광석)과 횟돌(석회석)을 용광로에 넣고 가열하면 쇳돌 찌끼와 횟돌이 엉긴 슬래그는 위로 뜨고 쇳물만 아래로 고인다. 이때 만들어진 것이 무쇠(주철)다. 무쇠는 단단하나 탄소가 많아 잘 부러진다. 달군 쇠를 두드려 단련하는 것을 불린다고 한다. 무쇠를 불린 것이 시우쇠(정철)다. 탄소량이 0.035∼1.7%가 되게 불린 것이 강쇠(강철)로, 질기고 녹도 덜 슨다. 탄소의 함량이 매우 적은 ‘무른쇠’(연철)는 ‘뜬쇠’라고도 한다. 사람이름에 ‘무쇠·믈쇠’가 있다. 수철(水鐵)로도 불리는 무쇠는 ‘믈쇠’에서 비롯된 듯하다.

첫가을에 부는 바람이 하필이면 강쇠바람일까? 용광로 같은 여름 끝, 열기에 그을린 강쇠 같은 사내들 사이로 부는 바람인 모양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25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19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76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20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71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76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77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52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45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65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62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68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272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22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02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670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27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35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91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22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38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435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