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7 18:22

강쇠

조회 수 794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쇠

사람이름

‘가루지기타령’은 옹녀와 변강쇠의 활달한 성 행각을 다룬 판소리로, 영화와 만화의 밑감이 되기도 하였다. 몽골 사람이름에 ‘간토모르’가 있다. 말 그대로 강철, 바로 강쇠다. 몽골말 ‘간’과 우리말 ‘강’이 서로 만나고 있다. ‘강’이 든 이름에 강이·강가히·강고리·강돌이·강마·강만이·강비·강상이·강치가 있다. 강골(强骨↔약골)은 단단하고 굽히지 아니하는 기질을 이르며, 강돌은 강이나 냇가에 있는 호박돌이다. ‘강생이’(강상이)는 고장말로 강아지고, 강치는 몸집이 물개와 비슷한 바다 동물로, 지느러미 모양의 다리를 갖고 있다.

쇠를 만들 때 쇳돌(철광석)과 횟돌(석회석)을 용광로에 넣고 가열하면 쇳돌 찌끼와 횟돌이 엉긴 슬래그는 위로 뜨고 쇳물만 아래로 고인다. 이때 만들어진 것이 무쇠(주철)다. 무쇠는 단단하나 탄소가 많아 잘 부러진다. 달군 쇠를 두드려 단련하는 것을 불린다고 한다. 무쇠를 불린 것이 시우쇠(정철)다. 탄소량이 0.035∼1.7%가 되게 불린 것이 강쇠(강철)로, 질기고 녹도 덜 슨다. 탄소의 함량이 매우 적은 ‘무른쇠’(연철)는 ‘뜬쇠’라고도 한다. 사람이름에 ‘무쇠·믈쇠’가 있다. 수철(水鐵)로도 불리는 무쇠는 ‘믈쇠’에서 비롯된 듯하다.

첫가을에 부는 바람이 하필이면 강쇠바람일까? 용광로 같은 여름 끝, 열기에 그을린 강쇠 같은 사내들 사이로 부는 바람인 모양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8
2952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741
2951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97
2950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960
2949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653
2948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33
2947 그런 식으로 / 그런식으로 바람의종 2012.09.25 13814
2946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096
2945 밤새 / 밤새워 바람의종 2012.09.24 10782
2944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342
2943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25
2942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16
2941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825
2940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83
2939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675
2938 내일 뵈요, 내일 봬요 바람의종 2012.09.14 14714
2937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780
2936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412
2935 바람의종 2012.09.12 9011
2934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097
2933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48
2932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68
2931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7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