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03

쇠르 몰구 가우다!

조회 수 612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르 몰구 가우다!

고장말

‘-르’는 앞 말이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말로, 주로 함경과 강원 영동지역에서 쓰인다. ‘-르’는 모음 뒤에 온다는 점에서, 표준말 ‘-를’과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자음 뒤에서는 ‘-으’가 오는데, ‘-으’는 표준말 ‘-을’과 같다. “빨래르 누가 씻나 봐라”(<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괴기르 하나 붙잡아 가주 와서 가매다 물으 한 댓 동이 붓고 그놈으 끓이.”(위 책) “쇠여물으 많이 장만했스꼬마”(함경) ‘-으/르’는 표준말 ‘-을/를’의 받침 ‘ㄹ’이 떨어져 된 고장말이다.(을>으, 를>르)

또한 ‘-으’는 ‘ㅁ, ㅂ, ㅃ, ㅍ’과 같은 입술소리 다음에 ‘우’로 바뀌기도 한다. 마치 전라도 사람들이 ‘남의 집’을 ‘남우 집’처럼 말하는 것과 같다. “쪼꼬만한 것두 이름우 부르면 영 대다이 놉아했습니다.(노여워했습니다)”

경상도에서도 비슷한 형태 ‘-로’가 쓰이는데, 경상도 동해안과 남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나로 믿고 자네는 잠주꼬 있그라.”(<경북동남부 방언사전>) “애로 묵고 재와(겨우) 만들었다.”(위 책) “아들로 둘 뒀니이다.”(경남 통영) ‘-로’도 표준말 ‘-를’에서 받침 ‘ㄹ’이 탈락하고 ‘르’가 ‘로’로 바뀐 것인데, ‘ㄹ’ 받침과 모음 뒤에서만 쓰인다.

‘-으, -르, -로’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반도 동쪽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43
198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7
1983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41
1982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00
1981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5
1980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944
1979 바람의종 2009.03.18 5211
19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7
197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52
1976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45
1975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67
1974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7
197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92
1972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64
1971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79
1970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36
1969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827
1968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9
1967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5
1966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72
196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82
1964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1
196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5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