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03

쇠르 몰구 가우다!

조회 수 614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르 몰구 가우다!

고장말

‘-르’는 앞 말이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말로, 주로 함경과 강원 영동지역에서 쓰인다. ‘-르’는 모음 뒤에 온다는 점에서, 표준말 ‘-를’과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자음 뒤에서는 ‘-으’가 오는데, ‘-으’는 표준말 ‘-을’과 같다. “빨래르 누가 씻나 봐라”(<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괴기르 하나 붙잡아 가주 와서 가매다 물으 한 댓 동이 붓고 그놈으 끓이.”(위 책) “쇠여물으 많이 장만했스꼬마”(함경) ‘-으/르’는 표준말 ‘-을/를’의 받침 ‘ㄹ’이 떨어져 된 고장말이다.(을>으, 를>르)

또한 ‘-으’는 ‘ㅁ, ㅂ, ㅃ, ㅍ’과 같은 입술소리 다음에 ‘우’로 바뀌기도 한다. 마치 전라도 사람들이 ‘남의 집’을 ‘남우 집’처럼 말하는 것과 같다. “쪼꼬만한 것두 이름우 부르면 영 대다이 놉아했습니다.(노여워했습니다)”

경상도에서도 비슷한 형태 ‘-로’가 쓰이는데, 경상도 동해안과 남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나로 믿고 자네는 잠주꼬 있그라.”(<경북동남부 방언사전>) “애로 묵고 재와(겨우) 만들었다.”(위 책) “아들로 둘 뒀니이다.”(경남 통영) ‘-로’도 표준말 ‘-를’에서 받침 ‘ㄹ’이 탈락하고 ‘르’가 ‘로’로 바뀐 것인데, ‘ㄹ’ 받침과 모음 뒤에서만 쓰인다.

‘-으, -르, -로’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반도 동쪽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2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47
2952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15
2951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4
2950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1172
2949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658
2948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532
2947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94
2946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68
2945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35
2944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7149
2943 뚱딴지같다 바람의종 2008.01.05 6854
2942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83
2941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97
2940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02
2939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368
293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54
2937 말짱 도루묵이다 바람의종 2008.01.06 11863
2936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888
2935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402
293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305
2933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9
2932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3
2931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9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