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03

쇠르 몰구 가우다!

조회 수 616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르 몰구 가우다!

고장말

‘-르’는 앞 말이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말로, 주로 함경과 강원 영동지역에서 쓰인다. ‘-르’는 모음 뒤에 온다는 점에서, 표준말 ‘-를’과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자음 뒤에서는 ‘-으’가 오는데, ‘-으’는 표준말 ‘-을’과 같다. “빨래르 누가 씻나 봐라”(<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괴기르 하나 붙잡아 가주 와서 가매다 물으 한 댓 동이 붓고 그놈으 끓이.”(위 책) “쇠여물으 많이 장만했스꼬마”(함경) ‘-으/르’는 표준말 ‘-을/를’의 받침 ‘ㄹ’이 떨어져 된 고장말이다.(을>으, 를>르)

또한 ‘-으’는 ‘ㅁ, ㅂ, ㅃ, ㅍ’과 같은 입술소리 다음에 ‘우’로 바뀌기도 한다. 마치 전라도 사람들이 ‘남의 집’을 ‘남우 집’처럼 말하는 것과 같다. “쪼꼬만한 것두 이름우 부르면 영 대다이 놉아했습니다.(노여워했습니다)”

경상도에서도 비슷한 형태 ‘-로’가 쓰이는데, 경상도 동해안과 남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나로 믿고 자네는 잠주꼬 있그라.”(<경북동남부 방언사전>) “애로 묵고 재와(겨우) 만들었다.”(위 책) “아들로 둘 뒀니이다.”(경남 통영) ‘-로’도 표준말 ‘-를’에서 받침 ‘ㄹ’이 탈락하고 ‘르’가 ‘로’로 바뀐 것인데, ‘ㄹ’ 받침과 모음 뒤에서만 쓰인다.

‘-으, -르, -로’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반도 동쪽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69
2952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777
2951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9036
2950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4014
2949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46
2948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60
2947 그런 식으로 / 그런식으로 바람의종 2012.09.25 13832
2946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39
2945 밤새 / 밤새워 바람의종 2012.09.24 10783
2944 안전성 / 안정성 바람의종 2012.09.24 16361
2943 뒤처지다,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9.21 12750
2942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21
2941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855
2940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747
2939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757
2938 내일 뵈요, 내일 봬요 바람의종 2012.09.14 14725
2937 '구정'은 일본식 표기 바람의종 2012.09.13 11815
2936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435
2935 바람의종 2012.09.12 9017
2934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바람의종 2012.09.12 28137
2933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70
2932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85
2931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7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