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4 00:03

쇠르 몰구 가우다!

조회 수 614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쇠르 몰구 가우다!

고장말

‘-르’는 앞 말이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말로, 주로 함경과 강원 영동지역에서 쓰인다. ‘-르’는 모음 뒤에 온다는 점에서, 표준말 ‘-를’과 대응하는 고장말이다. 자음 뒤에서는 ‘-으’가 오는데, ‘-으’는 표준말 ‘-을’과 같다. “빨래르 누가 씻나 봐라”(<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편) “괴기르 하나 붙잡아 가주 와서 가매다 물으 한 댓 동이 붓고 그놈으 끓이.”(위 책) “쇠여물으 많이 장만했스꼬마”(함경) ‘-으/르’는 표준말 ‘-을/를’의 받침 ‘ㄹ’이 떨어져 된 고장말이다.(을>으, 를>르)

또한 ‘-으’는 ‘ㅁ, ㅂ, ㅃ, ㅍ’과 같은 입술소리 다음에 ‘우’로 바뀌기도 한다. 마치 전라도 사람들이 ‘남의 집’을 ‘남우 집’처럼 말하는 것과 같다. “쪼꼬만한 것두 이름우 부르면 영 대다이 놉아했습니다.(노여워했습니다)”

경상도에서도 비슷한 형태 ‘-로’가 쓰이는데, 경상도 동해안과 남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나로 믿고 자네는 잠주꼬 있그라.”(<경북동남부 방언사전>) “애로 묵고 재와(겨우) 만들었다.”(위 책) “아들로 둘 뒀니이다.”(경남 통영) ‘-로’도 표준말 ‘-를’에서 받침 ‘ㄹ’이 탈락하고 ‘르’가 ‘로’로 바뀐 것인데, ‘ㄹ’ 받침과 모음 뒤에서만 쓰인다.

‘-으, -르, -로’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반도 동쪽 지역에서 쓰이는 고장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55
510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3
509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2
508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200
507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97
506 바람의종 2008.11.01 7245
50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2
504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97
503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91
502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28
501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80
500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88
499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80
498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7
497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9
496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39
495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77
494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4
»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47
492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63
491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66
490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21
489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