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2

고양이

조회 수 653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짐승이름

“남산골 한 늙은이 고양이를 길렀더니/ 해 묵고 꾀들어 요망하기 여우로세/ … 백성들은 쥐 등쌀에 나날이 초췌하고/ 기름 말라 피 말라 피골마저 말랐다네.”

다산 정약용의 우화시 ‘고양이’에 나오는 글이다. 여기서 늙은이는 일반 백성들이며, 쥐는 아전을, 고양이는 감사(수령)를 이른다. 백성들의 재물을 수탈하는 당시 세태를 풍자한 것이다.

혹은 고양이를 쥐 잡는 포졸에 비유한다. 고양이 묘(猫)를 뜯어보면, 해태 치에다 싹묘(苗)를 덧붙여 만든 글자임을 알 수 있다. 해태는 사람의 잘잘못을 알아차려 나쁜 사람을 만나면 받아 버린다. 싹 묘(苗)는 싹이라는 뜻 말고도 ‘작다-사냥하다’라는 말로도 쓰인다. 물론 ‘사냥하다’는 곧 악행을 저지른 이를 잡는다는 뜻으로 봐야겠다. 해서 암행어사를 해태에다 비유하여 치사라고도 이른다.

풀이에 따라서는, ‘고랑이-고앙이-고양이-괭이’로 그 바뀐 과정을 상정하였다.(서정범) 터키말에서는 고양이를 케디(kedi), 몽골말로는 고양이를 머루(mru)라 한다.

또 <계림유사>에서는 고양이를 ‘귀니’(鬼尼)라 했는데, 지금도 지역에 따라서는 ‘고내-고이’, ‘살칭이’라고 이른다. 살칭의 ‘살’은 사이를 뜻한다. 호랑이도 작은 짐승도 아니면서 신과 인간의 사이에서 어떤 소임이 있으리라는 가정에서 생긴 것이 아닌가 한다. 뭔가 고양이가 신통함이 있다고 봤다는 얘기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28
2952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00
2951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36
2950 복잡다난·미묘 바람의종 2008.01.03 11032
2949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568
2948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29
2947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272
2946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59
2945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394
2944 자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4 6999
2943 뚱딴지같다 바람의종 2008.01.05 6831
2942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11
2941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01
2940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518
2939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124
293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07
2937 말짱 도루묵이다 바람의종 2008.01.06 11842
2936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779
2935 노무족 바람의종 2008.01.06 6277
293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02
2933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1
2932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18
2931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88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