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2

고양이

조회 수 656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양이

짐승이름

“남산골 한 늙은이 고양이를 길렀더니/ 해 묵고 꾀들어 요망하기 여우로세/ … 백성들은 쥐 등쌀에 나날이 초췌하고/ 기름 말라 피 말라 피골마저 말랐다네.”

다산 정약용의 우화시 ‘고양이’에 나오는 글이다. 여기서 늙은이는 일반 백성들이며, 쥐는 아전을, 고양이는 감사(수령)를 이른다. 백성들의 재물을 수탈하는 당시 세태를 풍자한 것이다.

혹은 고양이를 쥐 잡는 포졸에 비유한다. 고양이 묘(猫)를 뜯어보면, 해태 치에다 싹묘(苗)를 덧붙여 만든 글자임을 알 수 있다. 해태는 사람의 잘잘못을 알아차려 나쁜 사람을 만나면 받아 버린다. 싹 묘(苗)는 싹이라는 뜻 말고도 ‘작다-사냥하다’라는 말로도 쓰인다. 물론 ‘사냥하다’는 곧 악행을 저지른 이를 잡는다는 뜻으로 봐야겠다. 해서 암행어사를 해태에다 비유하여 치사라고도 이른다.

풀이에 따라서는, ‘고랑이-고앙이-고양이-괭이’로 그 바뀐 과정을 상정하였다.(서정범) 터키말에서는 고양이를 케디(kedi), 몽골말로는 고양이를 머루(mru)라 한다.

또 <계림유사>에서는 고양이를 ‘귀니’(鬼尼)라 했는데, 지금도 지역에 따라서는 ‘고내-고이’, ‘살칭이’라고 이른다. 살칭의 ‘살’은 사이를 뜻한다. 호랑이도 작은 짐승도 아니면서 신과 인간의 사이에서 어떤 소임이 있으리라는 가정에서 생긴 것이 아닌가 한다. 뭔가 고양이가 신통함이 있다고 봤다는 얘기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7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48
510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3
509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2
508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200
507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97
506 바람의종 2008.11.01 7245
50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2
504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99
503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91
502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29
501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83
500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94
499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80
498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7
497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33
496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40
495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08.10.20 7077
494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4
493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51
492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63
»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68
490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25
489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57 Next
/ 157